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자는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머리를 파묻고 있다. 이 때문에 잠자는 용을 뜻하는 ‘메이 롱’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크기
가 53cm 정도다. 수 박사는 메이 롱의 형태로 보아 조류의 조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또 수 박사는 “지금까지 본 화석 중에서 가장 상태가 완벽하며 거의 모든 뼈가 보존된 상태였다”며 “완벽한 보존 ... ...
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노
크기
의 수많은 생체분자가 완벽한 조화를 연출하는 오케스트라인 생명체. 최근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을 활용해 생체분자 작동의 비밀을 밝히고 있다. 이를 응용해 초고감도 바이오센서를 만들고 바이오나노소자를 개발하기 위해서다. 생명체가 영감을 주고 나노기술이 구현하는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를 제작하는 것이다.
크기
의 관점에서 볼 때 생체물질인 핵산이나 단백질은 나노
크기
의 구조물이며 기능적인 관점에서도 완벽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 접근 방법은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기계적 움직임과 일상 생활에서 볼 수 있는 기계적 움직임을 자세히 살핀 후에, 그 움직임의 핵심을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마다하지 않았다.시련도 있었다. 물체 표면의 원자를 관찰하는데 사용하는 연구실 3배
크기
의 장비가 하루아침에 고스란히 재가 돼버린 것. 예산이 모자라 물 대신 오일로 냉각하다가 불이 났기 때문이다.“꼬박 보름 동안 손으로 그을음을 닦았어요. 죽을 맛이었죠. 며칠 후 2억원의 손실을 보험으로 ... ...
백두산만한 소행성 지구 스쳐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백두산
크기
의 소행성이 9월 29일 지구를 스쳐 지나갔다고 BBC가 보도했다.이 방송은 ‘4179 토타티스’ 라는 이름의 길이 4.6km, 폭 2.4km의 소행성이 이날 지구에서 1백60만km 떨어져 스쳐 지나갔다고 전했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4배 정도로 소행성이 지구에 1백60만km까지 근접한 것은 매우 드문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제리 브로먼셴크 박사팀은 국방고등연구계획청(DARPA)의 지원을 받아 꿀벌에 낟알
크기
의 라디오 주파수칩을 매달고 폭발물 미세분자를 감지했을때 그 정보를 지휘소로 보내도록 훈련시키고 있다. 하지만 아직 꿀벌들이 장거리를 이동할 수 없어 널리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생활특성과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안에 있는 지질박물관에는 티라노사우르스의 복제 화석과 함께 지름 7m
크기
의 지구본, 옛날 대륙의 모양 등을 볼 수 있다.전남 해남의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에는 대형 해양 디오라마와 함께 흑범고래 및 긴부리참돌고래의 박제, 여러 게와 가재, 수만 점의 조개 표본이 전시돼 있다 ... ...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강성철 박사팀이 개발한 것으로 길이 74cm, 너비 47cm, 높이 29cm로 라면박스 정도
크기
의 작은 로봇이다. 경사가 45도에 달하는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길도 최대 시속 12km로 달릴 수 있다. 올해 4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로봇경진대회에 참가했다. 현재 자이툰 부대에는 롭해즈와 함께 미국산 대형로봇인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내 쓰레기처리장인 ‘프로테아좀’ (Proteasome)이라는 소기관으로 들어가 아미노산 9-11개
크기
의 펩티드 조각으로 잘게 잘린다. 결국 유비퀴틴이 단백질에 ‘죽음의 키스’ 를 하는 셈. 그런데 막상 유비퀴틴 자신은 분해되지 않고 다른 단백질을 분해할 때 재활용된다.조각난 펩티드는 프로테아좀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기능을 수행하는 나노기계나 나노구조물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소자는 현재
크기
를 줄이는데 한계에 도달하고 있는 반도체칩 개발에 돌파구가 될 전망이다. 잠재력 무한한 NBT 이번 특집에서는 이런 미래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고 있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현주소를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