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론을 따라잡지 못한다. 실제 철인 3종(트라이슬론) 경기에서 아직까지는 남녀의 차가
크기
때문이다. 대한트라이슬론연맹 기우경 차장은 “지난해 올림픽 철인 3종 경기에서 남자 우승 기록은 1시간 51분 7초로 여자의 2시간 4분 43초보다 앞선다”고 말했다. 전체 육상 경기의 남녀 차와 비슷한 10.9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2000년 아시모가 탄생했다.또다른 인기 휴머노이드는 소니사가 개발한 ‘큐리오’ 다. 60cm
크기
의 장난감 로봇인 큐리오는 넘어져도 손을 잡고 일어서는가 하면 흔들리는 스노보드 위에서도 중심을 잡고 서있을 수 있다. 큐리오는 올해 3월 다섯 손가락을 능숙하게 쓰며 트럼펫을 불어 사람들을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고전통계이론에서 도입한 것으로 퀴리의 법칙을 유도할 때 쓰인다전기쌍극자 모멘트 p(
크기
가 일정하고 방향은 자유)를 가진 원자로 이루어진 계(系)에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한 세기 E의 전기장을 걸었을 때, 계 전체의 전기장 방향의 쌍극자모멘트는 1원자당 pL(pE/kT)가 된다(k는 볼츠만 상수, T는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때 수첩
크기
만한 개인휴대단말기(PDA) 시제품을 가져왔을 때 진 장관은 “원래보다
크기
가 2mm 차이가 난다”고 말했는데 실제 조사해보니까 정확히 2mm 틀렸더라고.해답 찾으려 분야 안가리고 발품 팔아이렇듯 기초가 탄탄한 덕에 남들이 못 푸는 문제를 향해 늘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었다. 진 ... ...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도청을 불가능하게 하는 레이저가 국내에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이용희 교수와 박홍규 박사팀은 7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지름 1백만분 ... 유리하다. 또 이 레이저는 빛이 만들어지는 공간을 매우 작게 만들 수 있어 레이저
크기
가 작아지고 적은 에너지로도 만들 수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0.2g이라고 해봐야 깨알의 수십분의 1 정도밖에 안되고 금속우라늄 1백50kg도 주먹만한
크기
”라면서 “많이 추출할 거 같았으면 신고를 하지 않았겠냐”고 말했다. 원칙은 신고하는 것이지만 이 정도로 작은 양의 핵물질이 규정 위반인지 아닌지는 IAEA가 판단할 일이라고 덧붙였다.장 소장은 “IAEA와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경 수소제조시장 규모는 연간 8백억달러. 조만간 저장탱크의 구멍
크기
하나에도 엄청난 이권이 오가는 상황이 전개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에너지연구원 배기광 박사는 “앞으로 수소경제 사회에는 미국과 일본, 유럽의 3자 구도에서 한국이 얼마만큼 비중을 차지할 수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소리의 격조를 끌어올리는데 안성맞춤이다. 소리 전달을 좀더 쉽게 하기 위해 반사면
크기
도 서로 다르게 만들었다. 무대 가까운 쪽에 큰 반사면을 설치해 낮은 음이 충분히 객석에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객석 뒤쪽으로 갈수록 천장 높이를 차츰 올린다거나 천장 곡률을 조정한 것은 넓은 범위의 ...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박혀있는 곳 캘리포니아성운은 가을철에 볼 수 있는 가장 큰 성운이다. 성운의 겉보기
크기
가 긴 변이 1백50′, 짧은 변이 40′가량으로 대략 달 5개에 해당할만큼 대단히 크다. 이름은 미국의 캘리포니아주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성간가스의 양이 태양의 2백40배나 된다.이 성운은 바로 남쪽에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에 설치된 고감도 센서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처리해 이미지를 얻었다. 행성 추정 물체는
크기
가 목성의 5배 정도이고 명왕성보다 큰 공전궤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이 천체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대기에 수증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별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이 천체가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