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과학동아 l2004년 08호
- 금지 어장 구역, 금지 어구 등을 정해 규제한다. 가령 대구는 21cm, 꽃게는 5cm 이하의 크기는 잡을 수 없다.하지만 이런 규제는 산발적이고 일시적이기 때문에 좀 더 체계적인 제도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한국은 총허용어획량(TAC)제도를 도입했다. TAC제도는 어획량 자체를 직접 통제해 자원량을 ... ...
- 10억분의 1m 속의 비밀정원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실리콘 표면에 작은 물방울 액체상태인 메탈갈륨을 부어 키운 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이들 모형을 소개했다.이 꽃은 작은 메탈갈륨 물방울들이 메탄을 함유한 가스에 반응하며 생성한 미세한 실리콘 탄화물 실로 제작됐다.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며 성장시키자 실이 다시 녹으면서 1-5μm ...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아닌 것이다.지금은 지진이 뜸한 시기일 뿐 한편 지진의 진도란 사람이 느끼는 지진의 크기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현재는 정도에 따라 12등급으로 나눈 수정머큘리진도(MMI)를 채택하고 있는데 진도는 보통 로마 숫자로 표기한다. 진도 Ⅰ은 극소수의 사람만이 느끼는 미세한 진동이고 진도 XII는 ... ...
-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수첩, 자동응답하고 위치를 알려주는 휴대전화, 교통상황을 감시하는 가로등까지. 크기와 종류에 상관없이 온갖 컴퓨터가 주변 환경에 빽빽이 들어차기 시작했다. 그리고 컴퓨터들은 서로 연결되고 통합돼 거대한 네트워크를 이루기 시작했다.이처럼 형태는 사라지지만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를 쓸 ...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접두사간에 묘한 상관관계가 있다. 트랜지스터를 비롯한 반도체를 이루는 기본소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테라헤르츠의 속도, 즉 1초에 1조번 이상의 연산을 처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노미터 수준으로 반도체소자의 스케일을 줄여야 한다 ...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과학동아 l2004년 07호
- 해양물리학자와 동행했을까.전지구적 해수순환이 급격한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최근 기후연구는 해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기에 대해 그동안 상당한 데이터를 수집했음에도 불구하고 기후가 제대로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해양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기 때문. 특히 해양은 ...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빛은 수정체에 의해 초점이 맞춰져서 망막의 감각신경 상피조직에 도달한다. 그러면 크기가 줄어들고 상하가 바뀐 물체의 상이 망막의 가장 바깥층에 있는 1억3천만개의 광수용체 세포에 투영된다. 광수용체 세포 중 원추세포(cone cell)는 고해상도의 컬러 영상, 간상세포(rod cell)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인체 가까이에 놓으면 자기장 신호를 포착해 내부 코일에서 증폭시켜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를 표시한 것이 뇌의 자기장 분포도, 즉 뇌자도다. 뇌자도는 지도에서 산의 높이를 표시하는 등고선과 비슷하다. 곡선의 모양이나 각 부분의 색깔을 보고 뇌 신경회로에 전류가 어떻게 ...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자세히 관찰했다. nm라는 작은 단위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이 박사는 지구와 사과의 크기를 비교해 이해를 도왔다. 지구의 지름을 1m라고 생각할 때 사과의 지름은 1nm 가량 된다.학생들이 나노 세계에 흥미를 보이자 이 박사는 이날 사용된 주사전자현미경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다. ... ...
- 익룡, 태아 화석 발견으로 난생(卵生) 입증과학동아 l2004년 07호
- 확실해 보인다.이번에 발견된 익룡알은 길이 5.3cm, 폭 4.1cm로 보통 달걀보다 약간 작은 크기다. 특히 알껍데기와 뼈, 날개, 피부조직이 육안으로 판별가능할 정도로 잘 보존돼 있어 백악기 공룡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익룡 태아 화석을 발견한 중국학술원의 왕샤올린박사와 주종헤 박사는 ... ...
이전5065075085095105115125135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