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즉 동물의 장기를 대신 사용하는 것인데 주로 돼지나 개코원숭이처럼 인간과 장기의
크기
가 비슷한 동물이 주된 연구 대상이다. 이종이식은 면역거부반응이 워낙 강하고 인체에는 없는 바이러스나 곰팡이 등 병균의 침투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아 아직 연구단계다.그러나 비록 ... ...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한달에 한번씩 규칙적인 월경을 한다. 소년들의 생식기에 나타나는 변화는 먼저 고환의
크기
가 커지고 약 1년 후 음경이 커지면서 점차 주위에 음모가 나는 것이다.남성의 경우 수면중에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발기가 일어나는데, 이를 수면중 발기라고 한다. 정상적으로 하룻밤에 3-5회 정도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탄소나노튜브나 실리콘 나노와이어가 등장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원자
크기
인 1-2nm에 불과해 터널링 현상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에도 반도체 교과서를 바꾼 삼성의 신화는 과연 계속될 수 있을지 관심거리다 ... ...
우주공간에 있는 거대 다이아몬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전체
크기
보다 더 크다. 팔찌
크기
가 이 정도니 그 안에 있는 ‘우주 다이아몬드’ 의
크기
도 상당하리라 짐작된다.어떻게 우주에 초대형 다이아몬드가 생기게 됐을까.사랑 대신 탄생한 파란 별무리잠시 다이아몬드의 어원에 전해오는 얘기에 귀기울여보자. 다이아몬드는 그리스어 ‘아마다스’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깃털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크리스찬센 교수는 “다리 깃털은 약 3.5cm 정도로
크기
가 너무 작아 나는데 적합치는 않다”면서도 “이 깃털들이 시조새의 조상이 뒷날개가 있었다는 흔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초의 새들이 4장의 날개를 가졌다는 이 주장은 지난해 마이크로랩터의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수 있고 이후 먹는 약이 탄생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아미노산의 수가 작아 약의
크기
도 작아지기 때문에 약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이번 결과는 세계적 학술잡지인 ‘생물화학지’ 4월호에 실렸다.목련 꽃봉오리에서 천식 특효물질 뽑아 봄을 알리는 식물 목련은 화사한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그것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일종의 에너지 변환시스템. 만약 미토콘드리아를 닮은 나노
크기
의 에너지변환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면 이것이 효율 높은 연료전지로도 탈바꿈 할 수 있다고 믿는다. 한마디로 꿈의 변환시스템인 셈이다. 이러한 꿈을 이루기 위해 국교수는 오늘도 실험실에서 원자들의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크기
역시 가장 크다. 이때의 금성이 눈에 보이는 시직경은 대략 1분각으로 태양의 약 1/30
크기
에 해당된다. 정확히 이날 태양의 시직경은 31분 31초각이며, 금성은 58초각이다. 사람 눈의 분해능은 밤하늘의 별을 보는 경우 약 1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시력이 좋을 경우 이론적으로 금성일면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크기
로, 완벽한 구에서 고작 40개의 원자가 쌓인 높이 정도의 오차가 있다. 만약 지구만한
크기
로 만든다면 이 정도의 오차로 인해 형성되는 가장 높은 산과 가장 깊은 바다는 단지 2.4m 밖에 안된다.이 외에도 미약한 상대론적 효과를 감지하기 위해서 실험에 방해가 되는 주변 잡음을 철저히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국가의 주요 정책결정 및 어족자원관리 등 사회·경제적 기여도가
크기
때문이다.사람과 사람, 국가와 국가를 이어줬던 해저통신케이블이 이제 인류와 지구, 인류와 해양을 이어주는 다리가 되고 있다. 해저케이블을 통해 인류가 해양의 변화를 이해할 때, 지구를 둘러싸고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