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따라서 구면기하학에서 두 직선은 반드시 두 점에서 만난다. 이제 거인이 구면
위
에 삼각형을 그린다고 상상해 보자. 볼록한 구면에서 그리는 삼각형은 평평한 평면에서 그린 삼각형과 다르다. 이때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보다 커진다. 또 오목한 곡면을 다루는 쌍곡면에서는 삼각형 내각의 ... ...
전자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볼 수 없다), PC나 아이패드는 LCD의 백라이팅의 빛이 직접 눈으로 들어오는 방식이다(주
위
가 깜깜해도 볼 수 있다).최근 건양의대 김안과병원에서 실시한 실험에 따르면 아이패드로 독서할 경우 전자북단말기(인터파크의 ‘비스킷’)로 독서를 할 때보다 눈의 피로도가 훨씬 심한 걸로 나타났다. 실험 ... ...
달라이 라마, 포도밭을 가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스
위
스는 '생태관광(ecotour)의 천국'이다. 어디로 눈을 돌려도 녹음 진 숲, 맑은 계곡을 볼 수 있고, 있는 그대로 자연과 융화돼 살고 있는 스
위
스 사람들을 만날 수 있 ... 찾는 스
위
스 사람들의 건강한 모습이야말로 진정한 생태주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스
위
스 걷기 여행을 마쳤다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산업 발전의 초석을 다듬는다는 측면에서 F1 개최는 의미가 매우 크다. 국산 자동차의
위
상이 많이 높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은 시스템적인 원천 기술이 오로지 우리의 것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분명히 F1은 우리만의 원천 기술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동기를 ... ...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영역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 문항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러한 면접을 준비하기
위
해서는 지원 계열과 관련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또 자료 분석 및 이해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읽기자료를 지속적으로 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어 면접은 짧은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는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성폭력 피해자는 생명의
위
협과 동시에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다. 민 원장은 “성폭력 피해자가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정하도록 돕고, 더 이상 비슷한 일이나 관련된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란 확신을 줘야 한다”고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표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흡수한다. 그리고 다른 기체들과 충돌하면서 발생한 열이 주
위
공기를 데운다. 그러나 대기 상층에서는 대기층의 밀도가 희박해 다른 기체들과 충돌을 거의 하지 않는다. 보유한 에너지를 주변으로 옮겨 가열시키지 못하므로 스스로 에너지를 우주로 방출시켜 주변을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단순히 IT 영역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박 대표의 지론이다. 웨어러블 컴퓨터를만들기
위
해서는 섬유나 패션산업에서도 IT에 대해 이해해야 하고, 결국 이는 IT가 미래에 개별 산업 전체를바꿀 수 있다는 근거라는 것이다.▶휴머노이드 마루와 아라를 개발한 유범재 KIST 인지로봇연구단장은 IT의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시스템을 끄거나 안전모드로 둬야한다. 남는 전기는 여유가 있는 곳으로 보내거나
위
급 시에는 아예 전력을 차단시켜야 스파크로 인해 장비가 망가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미 해양대기청은 기초기반 시설을 담당하는 기술자들에게 미 해양대기청을 비롯한 우주기상예보를 하는 센터에 등록해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ICM에서 한국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으리라는 보장은 할 수 없다. 그러나 2014 서울 ICM 조직
위
원장인 박형주 포스텍 교수는 “세계 수학계의 주요 문제를 국내 연구진이 해결한 경우가 21세기 들어 늘어나고 있다”며 “여러 연구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국내 수학자들이 세계 주요 문제에 계속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