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영역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 문항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러한 면접을 준비하기
위
해서는 지원 계열과 관련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또 자료 분석 및 이해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읽기자료를 지속적으로 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어 면접은 짧은 ... ...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우리가 도구를 만드는 능력이 있는지 관찰했어요. 그 결과 우리가 어떤 작업을 하기
위
해 그 일에 딱 맞는 나뭇가지를 고른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사람이 순서대로 일을 하듯 논리적으로 일을처리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뿐만 아니라 도구를 만들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까지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다닌다는 사실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단다. 아하! 문제의 신호는 바로 은북이가자기
위
치를 알리느라 보낸 거였구나….바다에서 들려오는 신호음은 멀리서 안부를 전해 온 바다거북 은북이의 메시지! 임무 완료! ▲ 지난 해 10월 5일에 바다로 가는 은북이의 모습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생각한다.인공
위
성휴대전화는 때로 GPS와 같은 인공
위
성의 도움을 받는다. 그런데 이 인공
위
성은 지구에서 발사할 때 지구 대기권을 벗어나면서(초속 7.9km) 지구 밖으로는 튀어나가지 않는 속도(초속 11.2km)로 날아가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다양한 수학적 방법을 동원해 치밀하게 계산해서 로켓을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는데, 현재 쓰이고 있는 미적분 기호는 라이프니츠가 만든 것이다.수학 역사상 가장
위
대한 발견으로 보아도 부족하지 않은 미적분의 발견으로, 고등 수학의 문이 열렸다. 그리고 미적분은 변화를 해석하는 강력한 무기로 우리 생활을 발전하는데 무한히 기여하고 있다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공장을 설계한 오나전 섭스 박사가 ‘착시’를 이용했더군.” 착시의 과학물체가 주
위
의 영향을 받아 실제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착시’라고 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사물의 모양이나 크기에 대한 정보는 눈의 망막을 통해 시신경을 타고 뇌로 전달돼. 이 때 뇌는 자기도 모르게 이미 ... ...
학교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양력연구실로 양력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비행기 날개를
위
로 띄우고 있답니다. 후우~!이 물체를 어떻게 공중에 띄우지?양력을 이용하면 되지! 날아라, 내 친구 부머랭~!부머랭을 직접 만들어 날려 봤어요! 부머랭도 양력을 이용해 난답니다. 날개를 안쪽으로 더 많이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표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흡수한다. 그리고 다른 기체들과 충돌하면서 발생한 열이 주
위
공기를 데운다. 그러나 대기 상층에서는 대기층의 밀도가 희박해 다른 기체들과 충돌을 거의 하지 않는다. 보유한 에너지를 주변으로 옮겨 가열시키지 못하므로 스스로 에너지를 우주로 방출시켜 주변을 ... ...
전자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볼 수 없다), PC나 아이패드는 LCD의 백라이팅의 빛이 직접 눈으로 들어오는 방식이다(주
위
가 깜깜해도 볼 수 있다).최근 건양의대 김안과병원에서 실시한 실험에 따르면 아이패드로 독서할 경우 전자북단말기(인터파크의 ‘비스킷’)로 독서를 할 때보다 눈의 피로도가 훨씬 심한 걸로 나타났다. 실험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벌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자벌레’는 나무에 심각한 해를 입힐 수 있다. 한 나뭇가지
위
에 정착해 잎을 모두 갉아먹고 다른 나뭇가지로 옮겨가 새로운 잎을 먹기 시작한다.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