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검사한 결과 이들의 면역계가 ‘광란에 빠져’ 결국 스스로를 파괴했다는 사실을
발견
해 지난해 12월 의학저널 ‘네이처 메디슨’에 보고했다.연구팀이 환자들의 폐조직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자 ‘C4d’라는 단백질이 잔뜩 쌓여 있었다. C4d는 항체와 결합해 바이러스를 무찌르는 역할을 한다. ... ...
광우병 공기로도 전염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취리히연방공대의 아드리아노 아구지 교수팀은 광우병 원인 물질의 새로운 전염경로를
발견
해 국제학술지 ‘플로스원병원균’ 1월호에 게재했다.광우병의 원인 물질은 ‘프리온’이라는 변형 단백질로 소에게는 광우병을, 인간에게는 변종크로이츠야콥증(인간광우병)을 일으킨다. 지금껏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회피 기능을 갖췄다.하지만 좁은 의미에서 본 스텔스 기능은 역시 ‘적의 레이더에
발견
되지 않는 기술’이다.스텔스기는 ‘레이더에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레이더에 잡힌다. 다만 신호가 너무 약해서 알아보기 어려울 뿐이다. 공군에서 항공기 관제사로 근무했던 한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분법처럼 나눠져 있는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 전혀 다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발견
은 생명체가 신비한 존재임을 또 다시 증명하는 사례가 아닐까 ... ...
알파벳에 숫자 넣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반드시 성립할 수 밖에 없는 규칙과 숫자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후 처음
발견
한 숫자를 이용해 다음 조건들을 단계별로 찾아나가야 합니다. ❶ 문제의 조건에 의하면 모든 수는 5보다 작기 때문에 서로 다른 두 수를 더해서는 10 이상이 될 수 없습니다. 때문에 2C=A=B+E, C+B=E라는 식을 만들 수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화석 1000여 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9500만 년 전 물갈퀴새 발자국, 아시아에서 최초로
발견
된 절지동물 생흔화석 등이 있는 ‘살아 있는 박물관’이다. 영월군 자연동굴은 대표적인 석회암 지대로 고생대 지층의 특성을 고스란히 갖추고 있다. 강원 철원군 한탄강 유역은 20억 년 전 ... ...
별보다 뜨거운 ‘불지옥’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밝혀져 화제가 되고 있다. 이 행성은 항성(태양)인 WASP-33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던 중
발견
됐다.HD15082b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이 행성은 안드로메다 별자리 안에 있으며 지구에서 378광년 떨어져 있다. 목성형의 가스 행성으로 목성 질량의 4.5배를 넘지 않는다는 사실 정도만 알려져 있었다. 알렉시스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005년에는 실험용 미생물인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연장하는 페로몬인 ‘다우몬’을
발견
해 화제가 됐다.연구진이 다우몬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예쁜꼬마선충에 주입했더니 14일이던 수명이 140일로 10배나 늘어났다. 예쁜꼬마선충은 먹을 것이 없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휴면에 들어가 기본적인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않게 막아 병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팀은 퇴행성 관절염을 일찍
발견
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역시 찾고 있다. 히프투알파는 세포질에 있다가 핵 내로 들어가는 단백질이라 바이오마커로 쓸 수 없다. 바이오마커로 쓸 수 있는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것이어야 한다.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문에 실험결과 미생물이
발견
되지 않은 것이라 주장했다. 라부아지에가 산소를
발견
하고, 산소가 동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으로 밝혀지며 다시 논쟁은 뜨거워졌다. 스펠란차니의 실험은 생물의 자연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를 공기로부터 배제시켰기 때문이 아니라 미생물의 성장 및 발효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