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10km까지 가까이 다가가선 본격적으로 추리에서 나오는 가스와 먼지를 분석하기 시작했어요. 온도와 자기장도요. 하지만 아직 결정적인 순간이 남아있었죠.10년의 기다림 끝에태평양 기준시로 빼빼로데이에 저의 마음을 담은 필래를 추리에게 전달하기로 마음먹었어요. 10km 거리에서도 웬만한 건 알 ... ...
- [과학뉴스] 성인을 위한 19금 과학콘서트, SNL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미래. 인간종족 최후의 보루 ‘인류번식연구소’에서는 동물들의 성행위를 관찰하기 시작한다. 인간을 번식시킬 생물학적 지식을 구하기 위해서인데….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과학콘서트가 찾아온다. 12월 27일 저녁 7시 30분부터 서대문구 KT&G 상상유니브에서 열리는 과학콘서트, SNL(Science Night Live ... ...
- [과학뉴스]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3주까지 잠복기가 이어진다. 환자는 잠복기가 끝나고 온 몸의 혈관이 터져 피가 나오기 시작해야 에볼라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최근 보스턴의과대 미생물학과 존 코너 교수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감염 초기에 발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논문 한 편을 ‘BMC-유전체학’ 11월 6일자에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왼손을 들고 엄지와 검지, 중지를 직각으로 펼쳐 -플레밍의 왼속 법칙- 방향을 살피기 시작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원형 코일에 자석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유도 전류를 만드는 것처럼 지구 자기장과 만난 하전 입자는 남극과 북극으로 흘러들어간다. 이 입자는 강력한 에너지를 갖고 있다. 우주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돼 만든 소모임이다. 23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 소모임은 2008년 세계로봇축구대회 3위를 시작으로 2009년, 2011년, 2013년에 3차례나 우승을 기록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시대와 기술은 계속해서 변하고, 사회가 대학에 바라는 인재상도 계속 바뀐다. 숭실대가 다음으로 준비하고 있는 상품은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걸 보고 만유인력을 연구하게 됐듯 ‘왜 이렇게 될까?’하는 호기심이야 말로 탐구의 시작인 것 같아. 김호영 교수님의 연구 결과 만년필로 글씨를 쓸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모세관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어. 모세관 현상은 물이 아주 가느다란 관을 타고 올라가는 현상을 말해. 식물이 뿌리로 물을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와도 그 모습이 닮아서다. 무한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칸토어기호 ∞가 쓰이기 시작한 건 17세기였지만, 이때까지도 무한이라는 개념은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상태였다. 무한은 그저 인간이 셀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매우 큰 수 정도로 여겨질 뿐이었다. 예를 들어 18세기 스위스의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투입 에너지보다 많은 에너지가 검출됐다”고 근거를 대기 시작하자 언론은 흥분하기 시작했다. 취재 경쟁이 일어났고, 전기분해에 의한 상온핵융합은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하지만 과학계의 반응은 차가웠다. 3파트에서 소개했듯, 중수소-중수소 핵융합은 현재 과학자들이 시도하고 있는 1세대 ... ...
- [화보] 자연의 경이로운 순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나오자마자 용암의 표면은 빠르게 식어 굳는다. 용암 내부는 여전히 뜨겁기 때문에 굳기 시작한 표면은 엿가락처럼 길게 늘어나 마치 대리암처럼 무늬를 만든다. _브라이언 로리]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반지름 6400km의 지구는 인간이 맨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지구뿐만이 아니다. ...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만들어진 이순신대교 입장에선 입김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순신대교는 요동치기 시작했다. 다리 주변에 ‘타코마대교 붕괴’ 때처럼 와류진동이 생겼기 때문이다. 원래 이순신대교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설계했다. 설계단계부터 바람의 흐름이 막히지 않도록 다리 단면을 유선형으로 만들고 ... ...
이전5035045055065075085095105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