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더 이상 그것에 대해서 ‘왜’라는 질문을 안 하기로 합의하는 것이다. 그런 공리에서
시작
해서 올바른 연역법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명제를 ‘정리’라고 부르는데, 정리 가운데는 복잡하고 믿기 어려운 것들도 있기 마련이다. 마치 단순한 벽돌을 시멘트와 건축 원리를 이용해서 짜 붙이면 상당히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결정의 성질과 성장방법에 대해 알게됐고 이듬해 일본으로 돌아와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
했다. 판 위에 낮은 온도의 질화갈륨 완충층을 올려 고온으로 표면처리를 한 후, 그 위에 질화갈륨 박막을 기르는 방법을 고안해 훌륭한 품질의 박막을 만드는 기술을 발표했다. LED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래서 머너의 노벨 화학상 수상은 오래 전부터 예견됐다.생물학은 보는 것에서
시작
한다살아 있는 세포에서 단백질과 염색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움직이는지를 고해상도로 볼 수 있다면 수많은 생물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 ...
[과학뉴스] 폭발 위험까지 알려주는 똑똑한 배터리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통과할 수 있어 평소에는 전압을 잴 수 있는 전극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합선이 일어나기
시작
하면 양극 사이의 전압차가 갑자기 사라지면서, 그 사이에 있는 구리막의 전압 역시 0이 된다. 연구팀은 이 전압을 관찰해 합선이 일어나기 직전에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고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육된 기록이 남아 있는 재래닭이다. 1991년이 돼서야 체계적인 재래닭 복원 사업이
시작
됐다.재래닭은 외모부터 확연히 다르다. 우선 외래종에 비해 날씬한 편이다. 키는 30cm 미만, 몸무게는 평균 2.4kg(수컷), 1.9kg(암컷)이다. 몸에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어 ‘후라이드 치킨’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응용해 보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가 나왔어요. 그 길로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그게
시작
이었죠.”사실 히든QR코드는 이번 신기술 설명회 때 함께 공개한 ‘복사방해패턴’ 기술에서 파생됐다. 공문서 등에 복사방해패턴을 적용하면, 원본에는 아무런 표시가 없지만 이를 복사했을 때 ‘COPY’ 또는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놓은 듯 한 동물이 코로 서 있었다. 어떤책인지 묻자 조 대표가 기다렸다는 듯 이야기를
시작
했다. “정말 아쉬운 책이에요.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책이 통할줄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코걸음쟁이’는 핵실험으로 생긴 ‘코쟁이류’라는 동물을 소개한 책이다. 재밌게도 10여 종에 달하는 ... ...
얼굴 대면 문이 딸깍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전신인 셈이다. 그는 “2000년대 후반부터는 생체인식 보안기술이 발전하기
시작
했다”며 “여러 기술 가운데 얼굴인식 방식이 사용도 간편하고 응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 유망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2012년에는 직장 동료들과 함께 파이브지티를 창업했다. 1주일에 3~4일씩 밤을 새워가며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세계적인 곤충박사 ‘징그러 몬만지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일단 한번 쫓아가 보자!”다른 잎 조각을 가지고 있던 잎꾼개미 한 마리가 도망치기
시작
했다. 몬만지네 박사와 썰렁홈즈는 개미를 쫓아 숲으로 들어갔다.“바…, 박사님 여기에 곤충이 있을 것 같은데요…. 왠지 좀 무서워….”미션3 다르게 소리 내는 곤충 음악가“이건 무슨 소리지요?”숲속으로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반응도 있었다. 이제야 국제 무대에 등장할 만한 자타 공인의 실력파 학자가 나오기
시작
했다는 뜻이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톰슨-로이터의 예측에서 한국인 또는 한국계 과학자 두 명이 노벨상 후보로 거론됐다. 처음 있는 일이라 많은 사람이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톰슨-로이터에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