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세포, 그리고 땀샘과 같은 부속 기관이 이곳에 있다.기저세포는 표피조직의 제일 아래에
위치
한다. 기저세포 자체는 별다른 보호막 기능을 갖지 않지만 보호의 일선에 선 다양한 세포들을 만드는 모체다.표피 아래의 진피는 실처럼 얽혀있는 섬유상 단백질(콜라겐)과 섬유아세포들이 듬성 듬성 ... ...
1. 아이콘에도 문법이 있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정보의 전달은 우리들의 일상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해준다. 불이 났을때는 비상구의
위치
를 얼른 찾을 수 있어야 하며, 고속도로나 터널 입구에서 차가 속도를 급히 줄일 때 후방 충돌을 막기 위해서 비상등 버튼을 얼른 찾아 뒤쪽의 차량에 신호를 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외에도 수많은 정보들이 ... ...
변비 왜 여자에게 잘 걸릴까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배를 마사지하는 것도 변비를 없애는 방법 중의 하나다. 특히 허리에서 엉치뼈 사이에
위치
한 소장유와 대장유, 그리고 변비점을 눌러주는 경혈 지압법은 자율신경을 활발하게 해주고 대장운동의 기능도 촉진시킨다(그림 2).운동요법으로는 배근육을 훈련시키는 방법이 있다. 주로 윗몸 일으키기,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합작품이라는데 있다.첫번째 감각기는 귀 안쪽에 자리잡고 있는 전정계다. 이것은 머리
위치
에서 빠르고 작은 변화를 민감하게 알아차린다. 고개를 갸우뚱하거나 머리를 휘휘 돌리면, 귀속에 있는 작고 예민한 털이 슬쩍 쏠리면서 전정핵이라 불리는 뇌간(腦幹)부분을 자극한다. 전정핵은 이 신호를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한치의 오차도 없이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원자의
위치
와 에너지 분포를 모두 정확하게 재조합해 인간의 형상을 재생시키는 일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모든 관측량에는 피할 수 없는 불확정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스타트렉의 작가들도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무수히 다양하다.(이강필 기자)황도 12궁점성술에서 말하는 황도 12궁은 그 달에 태양이
위치
한 별자리를 의미했다. 그러나 요즘은 지구 세차운동의 결과로 이 둘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12사(舍, house)특정 장소의 '동서 상하'를 지니는 원반형 공간을 부채꼴 모양으로 12등분한 것. 특정 장소를 ... ...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난투키 마을에서 관광객들을 속이는 엉터리 실험이 있다. 이 작은 마을은 적도 바로 위에
위치
해 있는데, 이 지역 사기꾼들은 버스를 타고 온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지구 자전의 결과로 물통에서 물이 빠질 때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그럴듯하게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들이 인식하는 유전자 부위다 아미노산 부호화 부위의 앞쪽에
위치
하며 전사가 개시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사란 유전자 DNA를 주형으로 해 RNA 중합효소가 RNA를 합성하는 과정이다게놈 내에 존재하는 유전인자다 게놈 증식과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증식하고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율리우스 플뤼커는 패러데이보다 높은 진공상태에서 방전관 벽이 인광을 발하고 인광의
위치
가 자기장에서 휘어지는 것을 관찰했다. 또 1869년 요한 히토르프는 음극과 인광 사이에 딱딱한 물체를 놓으면 벽에 그늘이 지는 것을 발견했다. 1876년 브레슬라우대학에 있던 오이겐 골드슈타인은 밝은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위해 눈이 양쪽 방향으로 붙어 있다. 따라서 일자형 미로 끝에 있는 먹이는 출발
위치
에서 보이지 않는다. 실험 회수가 반복될수록 전진 속도는 얼마나 빨라지는가, 상자를 열었을 때 출발하는 시간이 얼마나 줄어드는가. 이것이 일자형 미로학습 실험의 목표다. T자형은 여기에 ‘선택’ 요소가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