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음식
식품
먹거리
영양물
먹이
음식물
d라이브러리
"
식량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04
15세기 아메리칸 인디안들의 주요
식량
작물로 이용해 왔고 지금도 일부 남미지역에서는
식량
자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민들레 질경이의 어린잎이나, 쇠비름 참비름을 가지고 나물을 무쳐먹거나 죽을 쒀 먹기도 한다. 이밖에도 코치아(kochia) 야생무우(wild turnip) 등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 ...
곰은 동면중에 배설을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03
것 같은 상태로 겨울을 난다. 그렇다고 곰들이 반드시 동면하는 것은 아니다. 북극곰은
식량
만 있으면 동면하지 않는다 또 암곰은 동면중에 새끼를 낳는다. 사람과 같이 곰도 활동 중일 때는 요소를 배설한다. 동면중인 곰의 경우 요소의 양이 감소하는 대신 크레아틴이라는 물질의 양이 증가한다. ... ...
해양
과학동아
l
199001
1세기를 앞두고 해양은 인류생존의 필수자원이라 할 수 있는
식량
, 광물에너지 생존공간 등 모든 자원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구의 마지막 보고로 각광받고 있다. 암흑과 수압, 파랑 등 특수환경 때문에 해양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데는 많은 장애가 따르지만 최근 컴퓨터를 비롯한 광통신 전자 ... ...
과학계에 새바람 일으킨 과학기술운동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001
쏟아붓는데 나오는 결과가 거의 없다는 거예요. 유전공학연구가 인간에게 필요한 측면은
식량
과 의료분야에 도움을 주는 것인데, 실제 유전공학센터에서 연구하는 것을 보면 그러한 분야는 거의 없어요. 실제로 필요한 연구보다 홍보성 정치성 연구에만 매달려 있다는 느낌입니다.70년대까지만 해도 ... ...
열대신 고압으로 식품가공
과학동아
l
198912
대한 기대를 반여하듯 식품업계의 움직임도 민감하다. 지난해 가을 일본 교토대학
식량
학과 연구소의 '하야시 리키조'교수를 중심으로 한 팀이 이에 대한 심포지엄을 연 뒤 지난 9월에는 농심수산성의 지원으로 식품업계와 양조업계 기계 메이커 등이 모여 '식품산업초고압 이용기술연구조합'을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10
공급을 예측하게 한다.나아가 자국뿐만 아니고 적국의 곡물작황을 알아내 그 나라의
식량
사정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F1.4가 F0.03으로아무튼 야간감시장비의 원리를 이용한 제품이 이제는 일반에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카메라와 연결한 야간촬영기도 그 한 예이다. 예를 들어 F1.4에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10
결과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 사태가 계속되면 결국 빈곤한 나라나 자원이 없는 나라는
식량
확보도 하기 어렵게될 위험이 많다.이런 '종자전쟁'의 징후에 대비해 세계가 모두 같이 살수 있도록 하는 곡물전략을 자원식물학을 통해 세워나가면 그런 위기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그 방법으로 식물이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10
화학은 출제경향이 비교적 분명하지요. 예컨대 화학반응, 물질의 결합과 전자배치, 화학
식량
관계는 거의 매년 출제되고 있어요.주로 교과서를 중심으로 출제되고 있는데 기본개념과 원리의 이해력을 묻는 문제와 실험실습에 관한 문제가 단원별로 골고루 나와요.저는 학생들에게 4가지를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09
분야에 생물공학을 이용하는 방법들에 대해 연구가 진행중이다. 인류의 생존에 필수적인
식량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각기 다른 종자로부터 유용한 형질의 유전자를 추출, 특정 작물에 부여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이렇게 하면 교잡에 의한 유전자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대량번식 시킬 수 있다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09
부르는데 옛날에 이 지역으로 들어간 스페인 범선들이 바람이 없고 비가 오지않아 물과
식량
부족으로 자주 말을 배 밖으로 버린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30도에서 60도 지역은 지상에서 북쪽으로 공기가 이동하는데, 전향력의 영향으로 편서풍이 된다. 60도 부근은 편서풍과 극에서 불어오는 극동풍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