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겁"(으)로 총 2,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시끄러운 터널 폭발음, 상어가 해결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손 한 뼘 크기의 애완상어나 플랑크톤 같은 작은 동물을 먹는 상어도 있으니 너무 겁 먹진 마.어른이 된 뒤에 치아가 새로 나지 않는 인간과 달리 상어는 계속 새로운 이빨을 만들어. 가장 이빨이 많은 상어는 고래상어야. 평균 3000여 개의 이빨이 박혀 있는데, 이빨 하나의 크기는 1mm도 되지 않을 ... ...
- 8년 만에 확~ 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은 오를까? 내릴까?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실시합니다. 3개월마다 평균연료비를 계산해 연료비의 차이를 전력량 요금에 반영하는 겁니다. 또 빈번한 요금 조정으로 인한 혼란을 막기 위해 분기별로 평균연료비가 kWh(킬로와트시)당 1원 이내로 변동할 경우 이를 반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정부는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평균연료비를 ... ...
- [과학동아x긱블] 되네르 케밥 기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런 상황에 바퀴 바깥에 톱니바퀴를 덧붙였더니 이 프레임에 걸려버리고 만 겁니다. 잭키 님이 설계 당시에는 생각지도 못한 부분입니다. 바퀴의 동력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 바퀴에 두른 톱니바퀴를 떼어낼 수 없습니다.한숨을 연달아 쉬던 잭키 님은 “이런 걸 해결하는 게 엔지니어의 몫(찡긋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주말에는 산이나 들로 놀러 다니며 곤충이나 새를 관찰했다. 학업은 약간 뒷전이었지만, 겁 없이 시도하고 호기심을 늘리며 관심사를 보다 명확히 깨닫는 시간이었다.대학에 가서는 거미를 분류하는 연구실에 들어갔다. 스위핑넷(잠자리채와 비슷한 채집도구)을 들고 자연에 나가 거미를 채집하고,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딸기를 구분할 수 있는 색이나 모양, 표면의 무늬, 가장자리 등을 모두 학습해 인식하는 겁니다. 편리하고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의 기계학습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기술보다는 매우 많은 이미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딥러닝 방식으로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법 중에 ... ...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삼각형이 생기지 않도록 칠하고, 그런 다음 파란 삼각형이 생기지 않도록 칠하려고 할 겁니다. 하지만 빨간 삼각형이 생기지 않도록 칠하려다 보면 이내 파란 삼각형이 생기고, 파란 삼각형이 생기지 않도록 칠해 보면 주황 삼각형이 생겨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걸 알게 됩니다. 열심히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속도와 이동 각도를 기준으로 판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해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일 겁니다.같은 방식으로 오른쪽 판은 공과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위치를 결정하도록 코딩하겠습니다. 공이 화면 중앙을 지나 오른쪽으로 넘어오면 공의 y좌푯값과 판의 y좌푯값을 비교합니다. 만약 공이 오른쪽 ... ...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읽으면서 실생활에서 수학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면 수학 동기가 올라갈 수 있을 겁니다. 가 대한민국 어린이의 수학 흥미를 팍팍 올려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재밌고 유익한 수학 이야기 기다리겠습니다. 박형주 아주대학교 총장, 수학자 의 시작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런 에너지 상당수는 그냥 버려지는데, 이를 모아 웨어러블 장비를 구동하는 시대가 올 겁니다.”지난해 12월 1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변환소재연구실에서 만난 이주혁 에너지공학전공 교수가 손목에 찬 스마트워치를 보이며 설명했다. 이 교수는 에너지를 모아 미세전력원으로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포기하지 말라고 당부했습니다. 물론 수학을 왜 공부해야 하는지 스스로 깨달아야 즐겁게 공부할 수 있겠죠? 수담수담 온라인 클래스에서 수학의 필요성에 대한 강연을 듣고 함께 깊은 대화를 나눠보세요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