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모여 한 해 동안 활동에 관한 평가 시간을 갖고, 좋았던 활동과 좋지 않았던 활동을 구분해 다음 해에 할 활동을 계획한다. 2019년에는 세미나 내용이 1학년 학생들에게 어렵다는 의견을 반영해 수준을 조정했고, 학교를 벗어나 ‘수학을 어려워하는 모든 학생을 위한 세미나를 열자’는 취지로 수학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학자들은 이렇게 이분법적으로 사고하지 않았다. 과학은 이론과 사실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학문이 아니다. 현재 시점에서 발견된 증거에 비춰봤을 때 좀 더 설명하기 좋은 이론을 옳다고 판단하고 받아들일 뿐이다. 과학자에게 100% 완벽한 이론은 없다. 더 좋은 이론과 덜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어렵다. 혹자는 ‘지방맛’을 주장한다.2011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미각으로 지방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미뢰의 CD36 수용체 발현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며 인간이 느끼는 6번째 맛으로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하지만 이후 여러 관능검사(제품의 품질을 ... ...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진분수, 대분수의 개념과 그 변환을 배우며 중학교에 들어가면 대분수와 가분수를 구분하지 않고 거의 모든 연산에서 가분수를 바로 사용한다. 그렇다면 왜 승강장은 대분수로 쓴 것일까? 그리고 언제 각 분수를 사용하면 되는걸까? ★분수의 기원과 쓰임새★분수의 기원을 정확히 몇 년이라고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채식에는 유형이 존재합니다. 대개 어느 수준의 음식까지 허용하는지에 따라 7단계로 구분합니다. 유제품과 동물의 알, 해산물을 포함해 모든 종류의 동물성 음식을 안 먹는 가장 높은 수준인 비건(vegan) 채식이 있습니다. 유제품은 먹는 락토(lacto) 채식, 동물의 알은 먹는 오보(ovo) 채식, 또 상황에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갖췄다. 여기서 크리스퍼의 중요한 특성이 하나 있다. 자신의 DNA와 바이러스의 DNA를 구분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즉, 자신이 아닌 외부에서 유입된 DNA의 염기서열(시퀀스)을 알아채고 이를 잘라낸다. 크리스퍼-캐스9와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은 DNA의 특정 시퀀스를 인식하는 능력을 활용한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물론 성별을 구별하는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몸의 크기를 측정해 암컷과 수컷을 구분하거나, 유전자 분석으로 성염색체(암컷은 ZW, 수컷은 ZZ)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몸 크기 측정이나 유전자 분석은 펭귄을 직접 포획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만 짝짓기 상황을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기의 데이터만으로는 이것이 진짜 금성의 기후변화인지 관측 장비가 노후된 결과인지를 구분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인공위성 네 기의 관측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해서 금성의 기후변화임을 밝힐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5개 나라 18명의 연구원들과 협력했습니다. 현대 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가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먼 미래는 로봇과 인간이 더는 구별되지 않고, 어쩌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경계도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시대가 올 것 같아요. 포스트 휴먼 시대에는 한 사람이 수백 개의 뇌와 몸을 갖고, 디지털과 실재의 경계도 허물어져 더는 육체라는 한계에 갇히지 않는 존재로 변모할 수 있어요. 수백 개의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오사마 빈 라덴 제거 작전 당시 미군이 사용해 유명해졌다. 가짜 지폐, 가짜 미술품을 구분할 수 있는 등 활용도가 높지만, 그간 국내에서는 연구만 이뤄졌고 실제 생산된 적은 없다. 김 수석연구원은 “앞으로 우리 군에서도 초분광카메라가 사용될 것으로 생각하고 2010년 초분광카메라를 연구하던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