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미국에서도 다양한 인종을 접했지만, 아시아인이라고 하면 대부분 외형으로는 구분이 어려운 중국, 일본, 한국인이었다.하지만 동남아시아에서 접한 인종의 다양성은 차원이 달랐다. 아시아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다양성이 높은지, 그리고 그동안 인류 유전학에서 아시아가 얼마나 소외됐는지 새삼 ... ...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모여 한 해 동안 활동에 관한 평가 시간을 갖고, 좋았던 활동과 좋지 않았던 활동을 구분해 다음 해에 할 활동을 계획한다. 2019년에는 세미나 내용이 1학년 학생들에게 어렵다는 의견을 반영해 수준을 조정했고, 학교를 벗어나 ‘수학을 어려워하는 모든 학생을 위한 세미나를 열자’는 취지로 수학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어렵다. 혹자는 ‘지방맛’을 주장한다.2011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미각으로 지방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미뢰의 CD36 수용체 발현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며 인간이 느끼는 6번째 맛으로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하지만 이후 여러 관능검사(제품의 품질을 ... ...
- 과학 인포그래픽 만들기, 태양계 행성과 운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특히 중학교 2학년에 해당하는 수행평가 성취 기준에는 태양계 행성의 특징을 알고 구분하는 능력이 언급돼 있습니다. 수행평가의 설계와 진행, 평가 기준은 교사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항목별 기준을 세워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3. 태양계는 어떻게 구성됐나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갖췄다. 여기서 크리스퍼의 중요한 특성이 하나 있다. 자신의 DNA와 바이러스의 DNA를 구분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즉, 자신이 아닌 외부에서 유입된 DNA의 염기서열(시퀀스)을 알아채고 이를 잘라낸다. 크리스퍼-캐스9와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은 DNA의 특정 시퀀스를 인식하는 능력을 활용한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채식에는 유형이 존재합니다. 대개 어느 수준의 음식까지 허용하는지에 따라 7단계로 구분합니다. 유제품과 동물의 알, 해산물을 포함해 모든 종류의 동물성 음식을 안 먹는 가장 높은 수준인 비건(vegan) 채식이 있습니다. 유제품은 먹는 락토(lacto) 채식, 동물의 알은 먹는 오보(ovo) 채식, 또 상황에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통해 정오를 확인했고, 밤에는 별의 움직임을 통해 자정을 확인했다. 이런 식으로 밤낮 구분없이 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었다. 1년이 365일인 것도 정확히 구했다. 장영실은 1438년 자동 천문시계인 ‘옥루’도 만드는 데 성공해 종3품 대호군에 올랐다. 장영실이 부산을 떠나 한양에 온 지 30여 년 만에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먼 미래는 로봇과 인간이 더는 구별되지 않고, 어쩌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경계도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시대가 올 것 같아요. 포스트 휴먼 시대에는 한 사람이 수백 개의 뇌와 몸을 갖고, 디지털과 실재의 경계도 허물어져 더는 육체라는 한계에 갇히지 않는 존재로 변모할 수 있어요. 수백 개의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오사마 빈 라덴 제거 작전 당시 미군이 사용해 유명해졌다. 가짜 지폐, 가짜 미술품을 구분할 수 있는 등 활용도가 높지만, 그간 국내에서는 연구만 이뤄졌고 실제 생산된 적은 없다. 김 수석연구원은 “앞으로 우리 군에서도 초분광카메라가 사용될 것으로 생각하고 2010년 초분광카메라를 연구하던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물론 성별을 구별하는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몸의 크기를 측정해 암컷과 수컷을 구분하거나, 유전자 분석으로 성염색체(암컷은 ZW, 수컷은 ZZ)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몸 크기 측정이나 유전자 분석은 펭귄을 직접 포획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만 짝짓기 상황을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