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심해어에겐 초시력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어두운 방에서 흐릿하게 형체를 구분할 수 있는 건 ‘옵신’이라는 단백질 덕분이에요. 최근 스위스 바젤대학교 연구팀 101종의 물고기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물고기는 한두 종류의 옵신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반면, 심해어는 최대 38종의 옵신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어요.연구를 이끈 ... ...
- [과학용어] 지오펜싱 ·외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합쳐진 단어예요. 내핵(內核)은 안쪽 핵을 뜻하죠. 지구 내부 구조는 지진파를 이용해 구분할 수 있어요. 물질의 상태에 따라 지진파의 속도가 달라지거든요. 외핵은 고체만 지나갈 수 있는 S파가 통과하지 못해 액체 상태인 것으로 추정해요. 한편 내핵에선 모든 매질을 통과하는 P파의 속도가 ...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2차로 방사할 때는 금개구리의 물갈퀴에 생체용 형광 페인트를 칠해 기존 금개구리와 구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멸종위기 어류는 줄기세포로 기술로 복원2018년 기준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은Ⅰ급과 Ⅱ급을 합쳐 총 267종이다. 금개구리는 2012년 5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됐다. 이후 ... ...
- [중국유학일기] 기말고사가 가장 중요 족보 집중탐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유학생이 치러야 할 시험 과목은 크게 체육과 국제교육원 교양 그리고 전공으로 구분된다. 체육 과목의 경우 모든 학생이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하는 교양필수이며, 2학년까지만 들으면 된다. 1학기 때는 자신이 선택한 과목에서 기초적인 내용을 배우고, 2학기 때는 자동으로 1학기 때 선택했던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0, 2, 5), (0, 3, 4), (1, 2, 4), (1, 3, 3), (2, 2, 3)을 이용해 숫자 카드를 만들었어요. 같은 숫자를 구분하기 위해 빨강, 노랑, 파랑 3가지 색으로 숫자를 나타냈죠. 그리고 3가지 색에 해당하는 숫자 9개를 더했을 때, 그 전체 합이 비슷한 지도 확인했어요. 그래야 숫자 카드 전체의 균형을 맞출 수 ...
- 전염병 가는 길 막는 수학모형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인구를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S)과 감염된 사람(I), 그리고 회복된 사람(R)의 집단으로 구분해 초기 조건과 상황에 따라 각 집단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수학적으로 예측하는 모형입니다.구제역의 경우, 농장 안에서 나타나는 돼지들의 감염(I)과 회복(R) 상황의 변화와 각 지역에 퍼져있는 농장 ...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뇌 속에서 일어나는 정보 처리 과정은 메타 수준(meta level)과 대상 수준(object level)으로 구분된다. 두 가상의 지점 사이에서 정보가 움직이는데, 이때 정보가 이동하는 통로가 모니터링과 제어에 해당한다.먼저 우리가 인식하는 정보는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 수준에서 메타 수준으로 이동한다. 메타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위해 속임수나 편법을 쓴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❸ 청소로봇이 쓰레기와 값비싼 물건을 구분할 정도로 훈련받지 못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❹ 청소로봇이 주위 환경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위험한 행동을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❺ 훈련과 다른 상황에 놓였을 때 상황을 인식하고 작동하게 하려면 ...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위해 안테나 모양의 전파 망원경을 사용했어요. 이때 중요한 것은 가까이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하는 ‘분해능’이에요. 분해능이 좋을수록 멀리 있는 천체를 더 명확히 볼 수 있는데, 그러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커야 해요. 그런데 M87*은 5500만 광년이나 떨어져 있어, 관측하려면 문자 그대로 지구만 한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더불어 만기형별을 연구하며 별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 한편, 다른 나라와 구분되는 독보적인 연구 영역도 구축했다.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VN만의 ‘동시 다주파수 관측 시스템’ 수출지난 10년간 KVN의 최고 성과라면 단연 여러 종류의 주파수를 동시에 관측하는 ‘동시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