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짓말 어디까지 발전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판별망이 경쟁하면서 점점 그럴듯한 얼굴이 만들어져요. 나중에는 생성망이 사람도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진짜 같은 얼굴을 만들 수 있답니다. 목소리도, 표정도 따라 한다!적대적 생성망 기술로 얼굴뿐만 아니라 만화 캐릭터, 글씨체, 심지어는 목소리나 표정을 따라 하는 가짜 동영상도 만들 수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점에 도달해서야 다시 얼음조각이 됐는데, 이곳이 훗날 지구형 행성과 가스형 행성을 구분하는 기준선(동결선)이 됐다. 온도에 따라 안과 밖으로 분리된 물질들은 서로 충돌하면서 지름 10km에 이르는 미행성으로 자라났고, 미행성들은 다시 작은 천체를 빨아들이며 수백만 년에 걸쳐 매년 15cm ... ...
- [수학뉴스] 코끼리는 수를 냄새로 구별한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아직 다른 종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특별한 능력입니다.연구팀은 코끼리가 냄새로 개수를 구분하는 원리를 알아내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 발견을 통해서 인간과 다른 종의 지능을 이해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 논문은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3일자에 ... ...
- [10대의약] SNS 달군 다이어트 식품 효과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BMI는 체중(kg)을 키의 제곱(m2)으로 나눠서 얻는데, 25~30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구분합니다. 무엇보다도 청소년의 비만 치료는 식사와 운동 요법이 원칙이며, 식욕억제제는 성인에게만 처방이 허가돼 있는 만큼 16세 미만은 처방받을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SNS 열풍 ... ...
- 게임이 무슨 죄? 청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동반 게임군(정신질환을 동반한 상태에서 게임을 즐기는 그룹)’ 127명 등 두 그룹으로 구분한 뒤 최근 3년간 행동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ADHD 동반 게임군은 자체 회복률이 0.17로 단순 게임군(0.49)에 비해 2배 이상 낮았다. 자체 회복률은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게임 이용 시간이 정상 범주로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과학적인 조사를 거쳐 발견돼요. 이런 발굴조사는 ‘구제발굴’과 ‘학술발굴’로 구분해요. 구제발굴이란 건물이나 도로를 건설하기 전 땅속에 유적이 있는지 확인하고 발굴하는 것을 뜻해요. 한편,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 지역을 조사하는 경우를 학술발굴이라고 하죠. 가령 고구려와 백제가 ...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판단하는 절대적인 지표다. 그간 의학계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의 경계를 뇌의 생사로 구분하는 것도 이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이번 연구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인간과 가장 닮은 장기를 지닌 동물인 돼지의 뇌세포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 심지어 이렇게 ‘부활’한 돼지의 뇌세포는 약 6시간 ...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순수수학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는 여전히 있고, 사실 순수수학이 응용수학과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도 아닙니다. 설사 국내의 연구 여건이 나쁘다고 해도 왜 그 사실에 집중하는지 궁금합니다. 직접 만나 대화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요즘은 해외로 유학을 가는 게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니고(가령 ...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방향으로 9단, 8단, 7단의 순서로 기록됐고, 수평 방향으로 행을 나누는 선을 그어 각 단을 구분했습니다.또 현재와 다르게 9×9=81, 8×9=72, 7×9=63 같은 순서로 표기했고, 특히 8×9=9×8처럼 위에서 한 번 등장한 계산은 생략하는 효율적인 표기법을 도입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래 단계로 내려올수록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선택지는 남성 또는 여성밖에 없다. 항상 50 대 50의 확률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성별을 구분할 때 남녀의 뼈 크기와 모양의 차이를 이용하는데, 그중에서도 골반과 두개골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 중 정확도가 높은 건 골반이다. 두개골은 70~80%의 확률, 골반은 90~95%의 확률로 성별을 파악할 수 있다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