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평선(event horizon)’이라고 부른다. 블랙홀은 멀리 있는 관측자에게는 일반적인 별들과 구분되지 않는다. 하지만 블랙홀에 가까이 다가가면 블랙홀의 거대한 질량에 의한 인력이 주변의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고 주변의 시공간 또한 휘게 만든다. 따라서 시공간의 휨의 정도를 측정하는 곡률은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따라 판단을 시시각각 바꿀 수 있다. 이는 이세돌 9단을 이긴 인공지능 ‘알파고’와도 구분되는 점이다. 알파고는 ‘게임은 무조건 이기는 것’이라는 한 가지 목표가 설정된 알고리듬으로 자신의 실력을 높인 시스템이다. 바둑 경기가 끝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이기기 위한 최선의 계산만 반복한다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취약점을 보완할 해결책도 제시했다. 관제센터에서 전달된 명령과 해커가 보낸 명령을 구분하는 것이다. 박 교수는 “위협이 될 만한 해커의 명령이 입력될 경우 내장 소프트웨어가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해낸 뒤 해커에게 노출되지 않는 서버 내 관제시스템에 운행 권한을 넘기면 된다”며 “이 ... ...
- [수학뉴스] 꿀벌도 더하기·빼기 이해한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밝혔습니다.연구팀은 지난 연구에서 꿀벌이 0부터 5까지의 수를 인지할 수 있고 색을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뒤 이를 토대로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입구로 들어가면 갈림길이 있는 Y자형 미로를 만든 뒤 입구에 파란 점 2개, 갈림길에는 각각 파란 점 1개, 3개를 그렸습니다.입구에서 파란 점 ... ...
- Part 2. 플라스틱 쓰레기의 피해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얼마나 다양하고 많을지 걱정되지 않나요? 사람과 달리, 동물은 플라스틱과 음식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해요.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먹은 동물들은 배부름을 느끼고 음식을 제대로 섭취하지 않아 영양실조로 죽지요. 헤엄을 치다가 그물이나 플라스틱 고리에 몸이 끼어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0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 열 가지 수를 사용하지만 2진법은 0과 1만을 사용해요. 컴퓨터가 구분할 수 있는 경우가 전기가 켜졌을 때와 꺼졌을 때로, 두 개이기 때문이에요. 컴퓨터는 전기가 연결되면 1로, 연결되지 않으면 0으로 이해하지요. ● 미션 2 - 수식을 배워보자-제곱과 제곱근 이번 메이커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다음과 같다. 미지의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산 서열을 10개 이하로 쪼개 단위서열로 구분하고, PDB를 뒤져 이들 단위서열과 닮은 템플릿을 최대한 많이 찾는다(템플릿 찾기). 이렇게 찾아낸 템플릿들을 정렬시켜 모은 뒤(서열 정렬), 각 템플릿을 짜 맞추면서 이상적인 단백질 구조 모델을 만든다(모델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조사했다. 현재 연구팀이 개발한 AI는 고온에서 닭이 불편할 때 내는 울음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수준이다. 데일리 수석연구원은 2017년 12월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과의 인터뷰에서 “양계장 주인들은 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뭔가 불편하다는 걸 알아채지만, 정확히 무엇 때문인지는 ... ...
- [수학뉴스] 2월의 수학자 - 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수를 함께 적어야 했는데, 일의 자릿수 오른쪽에 점을 찍어 이를 기준으로 자릿수를 구분하게 만들었죠. 자연로그나 로그는 수학은 물론 과학과 공학, 경제학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건강 문제로 로그표를 완성하지 못한 네이피어가 이 사실을 알면 무척 좋아하겠죠 ... ...
- 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거죠. 좌푯값에 그대로 높이를 적용해 입체로 만들면 어디가 문이고 어디가 창문인지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따라서 어반베이스에서는 어떤 정보가 창문과 문인지를 미리 입력해 둔 뒤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해 수많은 도면을 학습시켰어요. 평면 도면 정보에서 문과 창문 등의 구조를 명확히 구별해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