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Q. 도쿄 올림픽에 참가하면 무조건 암 위험이 높아질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걸리는데, 그중 어떤 경우가 저선량 방사선 때문에 암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경우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며 “저선량 방사선의 암 발생 위험도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발암물질과 마찬가지로 문턱값이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포함한 척추동물에서는 뇌와 척추를 중추신경계로, 다른 지역의 뉴런을 말초신경계로 구분한다. 중추신경계 중에서도 뇌에 있는 뉴런들의 작용이 생물학적으로 가장 축약돼 있어 지능으로 부를 수 있다.지능과 연관된 뇌의 속성에는 뇌의 크기, 피질, 대뇌화(encephalization·대뇌의 용적이 증가하고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위해 속임수나 편법을 쓴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❸ 청소로봇이 쓰레기와 값비싼 물건을 구분할 정도로 훈련받지 못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❹ 청소로봇이 주위 환경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위험한 행동을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❺ 훈련과 다른 상황에 놓였을 때 상황을 인식하고 작동하게 하려면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더불어 만기형별을 연구하며 별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 한편, 다른 나라와 구분되는 독보적인 연구 영역도 구축했다.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VN만의 ‘동시 다주파수 관측 시스템’ 수출지난 10년간 KVN의 최고 성과라면 단연 여러 종류의 주파수를 동시에 관측하는 ‘동시 ... ...
- [놀이보고서] 동네가 변하면 더 많이 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놀이 환경이 좋은 동네였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각 동네의 놀이 장소를 세 종류로 구분했어요. 집 근처의 ‘작은 놀이터’, 동네 중심에 있어 항상 친구들이 모이는 ‘중간 놀이터’, 주로 주말에 가는 ‘큰 놀이터’예요. 세 종류의 놀이장소는 할 수 있는 놀이의 종류도 다르기 때문에 모두 ...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없습니다. 마이크를 통해 만들어진 수많은 전기신호 중에 인간이 한 말이 어떤 것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하고, 더 나아가 인간의 말이 어떤 뜻인지도 스스로 알아내야 합니다. “로보트 재권V야, 물 좀 가져다줘!”라고 명령을 내린다고 합시다. 로봇은 ‘로보트 재권V’라는 자기 이름을 인지할 수 ...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무리를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위에서 잠깐 내려다봤을 때는 한국인들만 따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움직이는 방향과 그들 사이의 거리까지 알 수 있다면 더 명확히 선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듬해 1월까지 약 두 달간, 나는 더 많은 시간을 연구에 쏟았다. 학교 내신 공부에서 멀어진 내 ...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동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따라서 개와 고양이는 발자국만 보고도 구분할 수 있다. 발가락 자국 위에 발톱자국까지 있으면 개 발자국이고, 그렇지 않으면 고양이 발자국이다. 고양이 발자국의 또 다른 특징은 발자국 수가 적다는 것이다. 앞발이 찍고 지나간 부분을 뒷발이 정확히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위해서는 일본과 중국 등 이웃나라의 연구 자료가 필수적입니다. 지각은 독립된 판으로 구분된 것처럼 보이지만 판이 상호 작용해 전체 지각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글로벌 협력이 필요합니다. 필자가 속한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암석학연구실은 화성암과 변성암의 암석학적 연구를 통해, ...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했는데, 달리기를 꾸준히 한 쥐가 쳇바퀴가 없는 시설에서 지낸 쥐보다 자극을 더 잘 구분했다. 이는 새로운 뇌세포가 더 많이 생성됐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이런 효과가 나이가 어린 쥐에서 더욱 극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doi: 10.1073/pnas.0911725107소아청소년의 두뇌 발달을 연구하는 김영훈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