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장"(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CERN은 당시 절대 힉스 입자를 ‘찾았다(discover)’는 말을 하지 않았다. 롤프 호이어 CERN 소장은 “우리가 드디어 해낸 것 같다”고 돌려 말했고, 공식 보도자료는 “힉스 입자와 일치하는 입자를 관측(observe)했다”고만 밝혔다. CERN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당시 찾은 입자의 일부 특성을 ...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연구를 통해 밝혀졌어. 지난 2008년 미국 클레어몬트대학원 신경경제학연구소의 폴 잭 소장은 ‘수줍음 환자’ 수백 명에게 옥시토신을 넣어 줬더니 불안감을 덜 느꼈다고 발표했지. 이밖에 옥시토신은 자폐증 환자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결과도 있어. 앞으로 과학자들은 자폐증에 옥시토신 ...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과학동아 l2013년 03호
- 2008년 1월 우 교수가 했다. 역시 서울대 정전가속기연구센터에 의뢰했는데, 우 교수가 소장한 흑피옥 중 9점에서 검은색 부분을 떼어내 성분과 연대를 분석했다.우 교수가 의뢰한 몇 주 후, 당시 정전가속기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던 윤민영 박사가 측정 결과를 알려왔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 ...
- GMO, 비싸서 못 키우겠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냈으나 최근에는 이들을 먹는 곤충이 늘어나면서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바세 소장은 “GM작물을 먹는 해충은 작은 지역에서 시작돼 널리 퍼져나가게 될 것”이라며 “농부들은 이제 살충제를 다시 이용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GM씨앗을 재배하는 미국 농민 중 다시 기존 ... ...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이번 탐사대의 모든 일정에 동행하며, 물심양면으로 적극 후원한 니티다 쁘라용 소장(태국정부관광청 서울사무소)의 말이다.태국 탐사대는 4박 6일 동안 2005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카오 야이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태국의 자연과 생태계는 물론, 전통과 문화까지 빠짐없이 체험할 수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있다.가장 다양하고 많은 세균이 살고 있는 부위는 대장으로, 약 2000종 정도가 발견된다. 소장, 피부 등 다른 환경까지 고려하면 한 사람, 한 사람은 걸어 다니는 거대한 미생물 생태계다. 그래서 우리의 ‘두 번째 게놈(Second Genome)’이라고 부르는 우리 ‘몸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 이 의학 연구의 ... ...
- 닥터 그랜마 지구정복자노벨상을 노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노벨 생리의학상역분화줄기세포’영국 과학자인 존 거든은 1962년 개구리 난세포의 핵을 소장세포의 핵으로 바꾸는 데 성공한 사람이야. 성숙한 세포를 성숙하기 전의 모습으로 만드는 개념을 처음으로 세웠지. 일본 과학자인 야마나카 신야는 2006년 생쥐의 피부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삽입해 ... ...
- 내가 뽑은 차세대 전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 난 전투기 액션 영화 ‘리턴 투 베이스’에서 멋진 전투기 조종사 역할을 맡은 비, 정지훈이야.안녕하세요? 저는 비행기 정비사 역할을 맡은 신세경이에요~.세경아,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곧 우리나라 하늘을 지킬 최첨단 전투기를 선발한다는 소식을 아직 ... ...
- 땅 안파고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속에 그냥 놔두는 게 문화재를 보존하는 길이지요."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 소장)문화재 지키자는 세계인의 약속!개발 때문에 문화재가 파괴될 위험에 처한 건 우리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니에요. 1960년 이집트에서는 댐 건설로 고대 이집트 아부심벨 신전이 수몰위기에 빠졌어요. 그러자 ...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음식물을 소화시킨다. 소장은 음식물이 가장 작은 영양소 단위로 흡수되는 기관이다. 소장에서 음식물의 흡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물에 잘 녹는 수용성 영양소와 지방에 잘 녹는 지용성 영양소는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흡수된다. 포도당, 아미노산,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B, C)과 같은 수용성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