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
입수
소지
점유
작은창자
교장
청원서
d라이브러리
"
소장
"(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 하나로 최고의 기업을 짓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미세먼지까지 측정할 수 있지만 본체는 7mm 밖에 되지 않는 기계를 만들기도 했다. 박
소장
은 “이 기계는 이미 국내 반도체 공장, 병원의 수술실, 제약회사, 나노 연구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며 “랩코도 사업을 확장해 더 많은 제품을 만들 날이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미션! 공룡의 흔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공룡이 눈앞에 서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느껴져요.허민 (전남대학교한국공룡연구센터
소장
) :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친구들이 공룡에 대해 많이 배우게 된 것 같아 뿌듯하군요!공룡을 연구하다 보면 공룡에 대한 지식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에요. 또한 화석을 보면서 실제 공룡의 ... ...
상금 100만 달러를 잡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안타깝게도 상금의 주인공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행사를 이끈 포스텍 포항수학연구소
소장
인 최영주 교수는 “도전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한국의 우수한 인재들이 모두 수학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앞으로 이런 기회를 더욱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때문에 산소는 포장지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어도 먼지는 절대 들어갈 수가 없다. 이
소장
은 “콩나물뿐 아니라 꽃이나 과일 포장에 사용해도 좋다”고 덧붙였다.고등광기술연구소에서는 레이저를 비롯한 여러 빛을 이용해 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날숨을 분석해 질병을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쁜 소식이 들려왔다. 한참 영화를 만들고 있던 2010년 11월 전남대 한국공룡연구센터(
소장
허민)는 백악기 후기 한반도에살았던 토종 공룡을 7년간의 발굴과 연구, 복원작업 끝에 공개했다. 조각류 공룡인 힙실로포돈류의 일종으로 보이는 작은 초식공룡으로 허민 교수팀은 코리아노사우루스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안녕? 난 온 동네를 돌아다니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다슬이라고 해. 요즘 날씨가 추워져서 그림 그리기가 너무 힘들어. 그림을 그리기 힘든 추운 겨울은 내가 가장 싫어하는 계절이란다. 하지만 오늘도 색색의 크레파스를 들고 멋진 그림을 그리러 나왔어. 시린 손을 호호 불면서 그림을 그리고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아니에요. 배꼽은 뱃속과 연결돼 있지 않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선천적으로 배꼽과
소장
, 방광이 연결돼 있는 기형인 ‘장간막기형’이나 ‘요막관 기형’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복막염이 생길 수도 있어요 ... ...
“난 인간과 세균의 중매쟁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1.5kg”이라며 “우리 몸에 이만큼 무거운 장기는 별로 없다”고 강조했다. 장내세균은
소장
이나 대장에 사는 미생물로 인간과 공생하는 생명체다. 장내세균의 종류는 160여 가지가 밝혀졌으며 학자들은 500종을 훨씬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이들은 과연 무슨 일을 할까. 병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그저 ... ...
학교 수학시험이 사교육을 부른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그동안 수학 사교육은 대학입학시험 문제가 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데다 학부모가 자녀 교육을 과도하게 사교육에 의존하면서 강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최근 조사에서 공교육도 사교육을 부추기는 것으로 나타났다.‘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수학사교육포럼*’은 민주당 김춘진 국회의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친환경 소재개발’ 등의 연구가 발표됐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박승재 과학문화교육연구
소장
은 “연구의 수준이 매우 높다. 개구리나 볏짚, 콩비지로 실험하는 것은 일반 연구원은 생각하기 어려운 소재”라며 “주변의 소재를 이용한 창의적인 실험이 많았다”고 평했다. 또한 지난 5월, 1박 2일로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