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평면을 가득 채우는 방법에서 착안한 겁니다. 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잘 정해 위 그림처럼 같은 색으로 된 두 정육각형은 서로 거리가 1보다 크게 하고, 정육각형 안에는 거리가 1 떨어진 두 점이 없도록 만들면 됩니다. 그렇다면 χ는 4, 5, 6, 7 중 얼마일까요? 정말 많은 수학자와 공동연구하며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커피 맛은 원두의 종류, 물의 양, 커피를 내리는 사람의 기술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정해진다. 수학자는 커피 가루에 뜨거운 물을 붓는 순간에 맛이 결정된다고 했다. 윌리엄 리 영국 허더즈필드대학교 수학과 교수는아일랜드 리머릭대학교 수학과에 있을 당시 이에 관한 연구를 했다. 커피는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테이블의 높이, 팔꿈치 패드의 크기와 위치, 손잡이(핸드 페그)의 규격 등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다. 팔씨름은 ‘통뼈’가 잘한다?인터넷에 ‘팔씨름 잘 하는 법’을 검색하면 여러 가지 비법들이 나온다. 그중에는 과장된 정보들도 많다. 대표적인 것이 악력이다. 영화에서도 선수들이 악력을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비장을 만들기 위해 6분의 1 크기로 자랍니다. 흉선처럼 장기의 크기가 고유한 값으로 정해지는 사례를 하나 더 소개해보겠습니다. 미국 오스본에 있는 동물학연구소 연구팀이 1931년에 발표한 실험입니다.doi: 10.1002/jez.1400590105 연구팀은 서로 다른 크기의 도룡뇽을 준비한 뒤, 큰 도룡뇽에서 발달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P≠NP 문제는 2000년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발표한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 P는 정해진 단계에 풀리는 문제, 즉 답을 찾는 게 쉬운 경우이고, NP는 풀이를 보고 답이 맞는지 틀렸는지 확인하는 게 쉬운 경우다. 이 두 경우의 관계를 찾는 문제가 P≠NP 문제다. 이시가미는 야스코를 구하기 위해 ... ...
- [과학뉴스] 날씬한 체질? 유전자가 정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최근 영국 연구진이 탄수화물 섭취를 즐겨도 체지방이 적은 사람의 유전적인 요인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 팀 프레일링 영국 엑스터대 의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영국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회사인 ‘바이오뱅크’가 보유한 17만 명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탄수 ... ...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정지를 요구할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게다가 각 법은 신용정보 등 초점을 맞춘 분야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분야별로는 GDPR보다 규제가 더 강력한 부분도 있다. 박 교수는 “기본적으로 한국의 법도 GDPR처럼 하나의 큰 규칙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 교수는 “GDPR이 발효되고 나면 ... ...
- [시사과학 뉴스] 액체괴물이 몸에 해롭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붙게 된답니다. 또한 올 해 2월부터는 방부제(CMIT/MIT)를 아예 쓰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제품이 만들어진 ‘제조일자’를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지요. 강민구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시장 관리과 사무관은 “안전 평가를 마친 제품에는 KC마크 아래에 숫자와 영어 알파벳으로 이뤄진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이 역할을할 수는 없으니 가상으로 만들어 놓아야 합니다. 그런데 겉모습만 그럴듯하고 정해진 행동만 하면 실제처럼 느껴지지 않을 거예요. 상황이나 플레이어의 행동을 분석해 그에 맞는 반응을 보여줘야 하지요. 이때 필요한 게 바로 인공지능입니다. 실제 같은 캐릭터를 연출하려면 얼굴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한 점에서는 세 방향으로 선분을 그을 수 있으니, 각 시행마다 무작위로 한 방향을 정해 선분을 긋는 게 됩니다. 매번 어느 방향으로 갈지 종잡을 수 없는 그림이 나오겠지요? 이처럼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설명하는 확률 모델을 ‘확률보행’라 부릅니다. 기체나 액체 속의 작은 입자가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