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가장 단순한 제어 기법인 ‘비례적분제어법’을 선택했다. 드론의 이동 궤적을 정해 놓고 드론의 이동 궤적과 센서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둘 사이의 오차만큼 움직임을 보정하는 가장 단순한 제어기법 중 하나다. 여기에는 덧셈, 뺄셈, 곱셈 등의 연산이 사용된다 ... ...
- [인터뷰] 정원영_광주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학교생활 최우선, 사교육 최소화”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통해 중학교 생활에 대해 질문한다. 토론은 제시되는 글을 읽고 학생이 주제를 선정해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는 형식이었다. 실험 설계는 중학교 교육 과정에서 나오는 실험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평가했으며, 융·복합적 사고력은 지문을 읽고 내용을 이해해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 ...
- [시사과학 뉴스] 액체괴물이 몸에 해롭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붙게 된답니다. 또한 올 해 2월부터는 방부제(CMIT/MIT)를 아예 쓰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제품이 만들어진 ‘제조일자’를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지요. 강민구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시장 관리과 사무관은 “안전 평가를 마친 제품에는 KC마크 아래에 숫자와 영어 알파벳으로 이뤄진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일정 구간을 자율주행 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 사람의 개입 없이 어떤 환경에서도 정해진 목적지에 갈 수 있는 완전 자율주행자동차는 레벨5에 해당한다. 현재 에트리카는 시속 60km까지 주행하고, 100m 앞의 장애물을 인지하며, 이에 따라 상황을 판단해 주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수준이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쓴다. 연구를 하면서 자기주도적 탐구능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다. 1년 동안 주제 하나를 정해 연구주제발표 세미나를 2~3번 하고, 사사논문 발표회를 2번 연다. 분야와 주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정한다. 그래서 ‘QR코드의 무늬를 조작해도 인식이 가능할까?’, ‘과일의 스트레스가 당도에 미치는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함께 보안을 갖춘 안전한 미래사회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목적을 정해두지 않고 순수한 지적 호기심이나 지식 탐구를 위해 시작된 수학 연구들이 결과적으로 암호 및 보안 산업 등을 발전시키는 데 활용됐다는 점이다. 가령 최근 주목받고 있는 동형암호의 토대인 격자기반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몸과 만난다?!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는 마음이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 머무르지 않는다고 주장했어요. 다만 인간은 몸과 마음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마음이 몸을 찾아와 영향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했지요. 마음이 필요한 순간 송과선으로 와서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수 없는 수준이었다. 건강한 사람도 물리학 이론을 발견하기 힘든데, 생존의 시간이 정해져 있다고 느끼는 불치병 환자가 해냈으니 그럴 만도 하다. 사실 보통 사람들은 호킹 박사의 말을 알아듣거나 그와 의사소통하기가 매우 어렵다. 루게릭병 증상이 점점 악화돼, 말년 20여 년은 휠체어의 ...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경험을 통해 보완할 수 있는 역량들은 무엇일지 고민해 참가할 대회를 구체적으로 선정해보자. 대회 참여 경험이 없거나 부족해서 걱정될 수 있다. 하지만 교내 대회 참가 시 너무 두려워하지 말고 자신이 세운 계획에 맞춰 일단 도전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수상에 대한 부담감을 갖기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의료공학 등 수많은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노벨위원회는 이 가치를 인정해 2016년 분자기계 분야에서 기념비적인 논문을 쓴 세 연구자(소바주 교수, 스토더트 교수, 페링하 교수)를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으로 선정했습니다. 최성훈_ sunghunchoi1985@gmail.com서울대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