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d라이브러리
"
지상
"(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머릿속에만 있었던 가설 상의 존재였다. 1992년에야 처음으로
지상
에서 관측에 성공해 그 존재가 증명됐다. 다시 말하면 인류는 고작 20년 전까지만 해도 명왕성 부근과 그 바로 바깥까지도 오직 추측으로밖에 알지 못했다는 뜻이다.카이퍼벨트는 기묘한 곳이다. 지름이 100km가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에너지 수송을 담당하는 파동으로, 파장이 지구 반지름에 필적하는 6000km에 달한다.
지상
에서 활성화한 행성파가 성층권까지 올라가 극 소용돌이를 교란해 약화시키는 데는 약 1개월~1개월 반이 걸린다. 즉 카라, 바렌츠해에서 여름에 녹은 해빙이 가을에 덜 얼면 극 소용돌이가 약해지고, 극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햄버거를 만드는 NASA 우주비행사들. 우주는 중력이 거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식품을
지상
에서처럼 먹을 수 없다(위). 미국 MIT의 다바 뉴먼 교수가 자신이 개발한 차세대 우주복을 입고 있다. 얇고 활동성이 뛰어나다. 파티의 꽃 우주 음식축제는 순식간에 막을 내렸다. 그러나 가슴 한편에 자리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무중력을 경험하고 내려온다. 그게 정말 우주관광이냐고? 걱정 붙들어 매시라.
지상
100km는 국제항공연맹(FAI)이 우주와 지구의 경계로 규정한 고도다. 공식 이름은 ‘우주탄도비행’이다. 인공위성 궤도까지 올라가지 못하지만 가격이 궤도 우주여행의 100분의 1 정도로 싸다. 긴 비행이 반갑지 않다면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했다고 전문가 조사단은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법은 지하 공사 구간 바로 위의
지상
에서도 함께 작업을 해야 한다. 즉 석촌지하차도를 폐쇄하고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주민들의 불편도 적지 않아 수평 그라우팅 공법을 썼지만 결과적으로 편의를 위해 잘못된 공법을 이용한 셈이다.7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흔히 생각하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직접 체험훈련은 아니었다. 하지만 비행과정중
지상
에 비해 최대 6배의 중력가속도가 생기는 만큼 수업은 진지했다. 마지막 날에는 함께 우주선을 탈 관광객 6명과 조종사 2명을 만났다. 다양한 나라에서 같은 꿈을 가진 친구들을 만날 수 있어서 무척 즐거웠다 ... ...
‘진짜’ 별에서 온 그대, 태양계 밖 먼지 확인!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입자가 충돌하면서 남긴 흔적이나 부착된 입자를 모으는 식이었다. 연구팀은 이후
지상
에 돌아온 스타더스트에서 측정장비를 분리해 입자를 추출한 뒤 충돌 궤적, 성분, 결정 구조, 크기 등을 상세히 분석했다. 약 3만 명의 네티즌이 참여한 집단지성 프로젝트 ‘스타더스트앳홈’ 역시 입자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그는 진지하고 차분하게 사업을 구체화했다. 그때까지 진행됐거나 구상된 우주관광은
지상
에서 우주선을 발사해 지구 탈출속도를 넘어야 했기 때문에 발사 비용이 매우 비쌌다. 탑승객은 위험한 발사 과정을 견디기 위해 우주비행사 못잖은 혹독한 훈련을 거쳐야 했다. 그는 두 가지 문제를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인기)은 여러 종류의 로봇으로 이뤄진 군집시스템에 매 우 유용하다. 넓은 지역에서
지상
로봇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 명령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워 마노이드 외에도 대부분의 군집로봇 시스템이 드론과 의 협력을 꾀하는 추세다. 실제 재난현장서 쓰려면 군집 드론과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구현하는 날이 올 겁니다.” 군집로봇 시스템에는 드론 군집비행이 필수다.
지상
이동로봇과는 비교할 수 없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 고 자율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드론 군집비행 제어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이를 알기 위해 대전 유성구 과학로에 위치한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