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면"(으)로 총 1,9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내 손 안의 자산관리사, 핀테크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금융 SW도 개발되고 있다. 행동기반인증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나 패턴을 화면에 입력할 때의 속도나 리듬, 위치, 압력 같은 데이터를 분석해 본인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사람의 사용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금융보안기업인 앤서의 박준형 대표는 “행동기반인증을 FDS에 적용하면 위험관리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각도 값이기 때문이에요.학생들은 블록 캐릭터가 화면 아래쪽에서 왔다 갔다 하고, 화면을 클릭한 곳에서는 또 다른 블록 캐릭터들이 밑으로 쏟아지는 게임을 만들었어요.“이제 이 게임에 스토리를 입혀볼까요?”게임에 스토리를 더해 보라는 오 교수님의 말에 이경림 학생은 “위에서 도토리를 잘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OLED, OLED 하시는데, OLED는 수분에 매우 취약하지 않습니까? 아니 구부러지면 뭐합니까. 화면이 깨지면 말짱 도루묵인 것을요. 우리가 지금까지 딱딱한 디스플레이를 유지한 건 다 그만한 이유가 있어섭니다. 수분이나 다른 외부 물질에 대처할 방안은 있으신 겁니까?F 흠흠. 안 그래도 지금 말씀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번개가 바로 나타났다(134쪽 사진 참고). 휴대전화를 돌리고 뒤집고 흔들어도 휴대전화 화면의 번개는 사라지지 않았다. 임 교수는 “기존에도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충전 가능한 제품은 개발돼 있었지만, 기존 코일(루프 코일)은 구 모양이라 휴대전화에 적용시키기는 어려웠다”고 말했다. 반면 ...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공포영화에서 귀신이 나오기 전에 나오는 장면들(주인공이 한 곳을 뚫어지게 본다든가, 화면의 불빛이나 초점이 한 곳에 집중되는 장면들)이 공포 조건화를 만들고 있지는 않을까. 왓슨의 실험에 비유하면 귀신의 전조가 되는 장면이 실험 속 ‘흰쥐’고, 귀신의 등장이 왓슨이 냈던 ‘쾅!’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알게 된 사실이지만 간을 보지 않는 것은 음식이 맛이 없어서가 아니라 간을 보는 느린 화면이 방송의 흐름을 끊기 때문이라고 한다.촬영팀은 요리가 완성된 직후에 가장 바쁘다. 이때가 음식이 가장 맛있게 보이기 때문이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촉촉한 음식은 특별히 예쁘게 담지 않아도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발사되던 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 통제실 맨 앞자리에는 수학자들이 있었다. 컴퓨터 화면에는 그들이 계산한 우주선의 궤도가 보였다. 아폴로 11호는 결국 예정대로 달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얼마나 빨리, 어느 지점에서 가속해야 지구를 떠난 우주선이 달의 궤도에 정확히 들어갈 수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들어 아주 섬세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LCD TV에서 광원인 LED 램프와 화면 사이에 양자점 필름 한 장만 덧붙이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스마트 워치 이번엔 건강을 지키는 데 활용되는 빛기술을 조명해 보겠습니다. 여러분 스마트 워치에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오락실이 아이들의 발길을 붙잡아 이끌던 시절, 많은 이들이 즐겼던 벽돌 깨기 게임이다. 화면 속 게이머는 처음엔 익숙지 않은 듯 실패를 거듭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실력이 급격하게 는다. 동영상 막바지를 보면, 벽면 한쪽을 집중해서 뚫은 뒤 공이 담장 위로 올라가도록 만들면 훨씬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대상피질이 활성화되면서 가짜 기억(눈밭)이 떠오르 기 때문이다. 그것도 HMD로 보면 일반 화면으로 볼 때보다 두 배 이상 효과가 좋았다. 뇌졸중 환자에게도 HMD로 가상현실을 경험하게 하면, 죽어있던 운동뉴 런을 재생하는 데 도움이 된다.가상현실의 등장을 가장 반기는 곳은 산업계다. 미 국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