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대"(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에 박건우 고려대 신경과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0.04.21
- 학사와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2년 고대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로 부임했다. 이후 고대안암병원 기획실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고려대 노인건강연구소장, 서울 강북구 치매안심센터장, 대한신경과학회 부이사장, 대한노인신경의학회 총무이사, 인지중재치료학회 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50주년 맞은 '지구의 날' 당신은 16세기 이후 최악의 가뭄속에 살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0.04.19
- 동향과 함께 가뭄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을 함께 조망했다. 가뭄과 흥망성쇠를 함께한 고대 남미 제국, 미국 캘리포니아에서의 지하수 복원 노력, 가뭄에 따른 기근 예측 연구 등 세 건의 특집 기사도 실었다 ... ...
- [의학바이오게시판]대한췌장담도학회 이사장에 이홍식 교수 外동아사이언스 l2020.04.16
- 체외진단시약 ‘악센리브라카 라이브러리 키트’의 임상시험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고대구로병원에서 지난해 8월부터 8개월간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최종적으로 13일 임상적 효용성을 입증받았다. 마크로젠은 올해 안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3등급 품목허가를 거쳐 국내 주요 병원 및 검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2020.04.16
- 실습 모습. 하이델베르크대 제공 고대 의학의 큰 줄기는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에서 초기 로마의 갈레노스에 이르는 흐름이다. 앞서 이미 소개했듯이 갈레노스는 인체보다 동물을 이용해 해부학적 지식을 얻었다. 자유롭게 사람 배를 갈라볼 수 없었던 시대의 한계라 어쩔 수 없는 일이기는 ... ...
- 신규확진 줄었지만…방역당국 괴롭히는 '무증상전파·재양성'연합뉴스 l2020.04.16
- 검사하는 '취합검사법'(Pooling)을 도입하기로 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증상이 없는 감염자로부터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에서 은밀한 전파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며 "방역 측면에서도 무증상 전파는 관리하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202 ... ...
- "코로나19 초기 무증상 환자·미보고 증상 못잡아 조기방역 어려웠다"동아사이언스 l2020.04.10
-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왼쪽부터). 고대구로병원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 초기 감염된 국내 환자 28명 중 3명이 발열이나 기침 같은 증상을 보이지 않은 ‘무증상’ 환자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태 초기 일반적인 호흡기 질환 증상인 발열, 기침, 인후통 ... ...
- 대한의학회 24대 회장에 정지태 고대의대 명예교수동아사이언스 l2020.04.08
- 정 교수가 선거 끝에 제24대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8일 밝혔다. 정 교수는 1988년 고대 의대에 부임해 지난해 8월 정년퇴임했다. 연구처장과 산학협력단장, 이과대학장을 역임했다. 1998년 국내 유일의 어린이 알레르기 캠프를 매년 개최하며 어린이 환경보건에 기여했다. 보건복지부 장관∙환경부 장관 ... ...
- 전세계 코로나19 환자 100만명 눈앞…감염병 100만명은 무엇을 의미하나동아사이언스 l2020.04.02
- 에볼라는 2015년 기준 2만7341명의 환자를 발생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병에서 100만이라는 숫자는 큰 의미를 가질 순 없지만 코로나19는 기록적인 ‘확산 속도’를 보이고 있어 주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예전에 발생한 사스나 메르스, ... ...
- 자가격리 입국자 '가족간감염' 주의…"방심하면 지역확산 불씨"연합뉴스 l2020.04.02
- 한다. 가족 중 고령자 또는 지병을 앓는 고위험군이 있어도 마찬가지다. 천병철 고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만약 독립된 생활이 어렵거나 동거인 중 만성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이 있다면 시설에서 격리생활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만약 집에서 격리생활을 한다면 가족들도 스스로 ... ...
- 300만년전 아기의 '늦게 자란 뇌'가 인류와 유인원 운명 갈랐다동아사이언스 l2020.04.02
- 화석 분석..."인류는 300만 년 전부터 유년기가 길었다" 제레이 알렘세게드 미국 시카고대 의대 교수와 애리조나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팀은 ‘루시’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친척 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두개골을 연구해, 이 종이 유년 시절에 오랜 시간에 걸쳐 두뇌가 자라는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