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08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게놈 3600개 분석 결과 보니..."변종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일부는 그대로 남아 게놈에
흔적
을 남긴다. 게놈학자들과 넥스트스트레인은 이 변이
흔적
을 추적해 바이러스가 어디에서 왔는지 역학 정보를 추정한다. 리보핵산(RNA)으로 된 게놈을 지니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1년에 약 26개의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1년에 약 50개의 변이가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강을 복원하기 위해 2명의 원주민에게 도움을 청했고 이들은 오래된 바위와 돌들의
흔적
을 더듬어 복원에 필요한 지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물길 복원을 통해 찬 물에 사는 송어 등이 다시 돌아왔고 생태계 복원이 진행중이다. 테로 무스테넨 박사는 “인류의 생존과 지구 온난화 완화를 ... ...
달 뒷면에 천문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1년 구축에 착수해 2016년 9월 정식 가동을 시작했다.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나 외계 생명체
흔적
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NASA가 구축을 추진중인 LCRT는 규모 측면에서 톈옌의 두 배에 이른다. ●설치방식 간단, 연구성과 '무궁무진' NASA는 LCRT가 구축되면 인류가 지금까지 관측하지 못했던 6~3 ... ...
[표지로 읽는 과학] 9000만 년 전 남극, 얼음 대신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존재했다는 것이다. 암석을 X선 컴퓨터단층촬영(CT)로 확인했더니 65가지가 넘는 식물종의
흔적
과 시아노박테리아 등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뉴질랜드 남섬에 펼쳐진 온대우림과 비슷한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9000만년 전 남극은 숲이 펼쳐져 있었을 정도로 따뜻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 이 땅은 ... ...
약 300만년 전 인류의 조상 '루시' 두뇌 유인원에 더 가까워
연합뉴스
l
2020.04.02
DB 금지] 그러나 디키카 유아 두개골에서는 유인원과 같은 위치에서 분명한 월상구
흔적
이 확인됐으며, 하다르에서 발견된 성인 두개골에서도 이전에 발견되지 않았던 월상구가 유인원 위치에서 발견됐다. 기존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두뇌 조직의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 ...
300만년전 아기의 '늦게 자란 뇌'가 인류와 유인원 운명 갈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치아 에나멜 속 고(古)단백질 서열을 분석했다. 단백질 서열은 DNA 서열보다 더 오랜 시간
흔적
을 남겨 서열 해독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그 외에 약 180만 년 전 화석인 드마니시의 호모 에렉투스 화석의 단백질 해독해 비교한 결과, 안테세소르가 현생인류 및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의 공통조상과 ... ...
트럼프 "코로나19, 중국 바이러스라고 안 부르겠다"
연합뉴스
l
2020.03.26
원고를 보고 있다. '중국의'(CHINESE)'라고 인쇄된 부분에 검정색 마커로 줄을 그어 지운
흔적
을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개 발언이나 트윗을 통해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지칭해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명칭을 앞으로 '중국 바이러스 ... ...
코로나19 완치 후 재감염 가능성 낮다…하지만 면역력 유지는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체온이 상승했지만 다른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2주 후 원숭이를 부검한 결과 바이러스
흔적
은 발견되지 않았고 항체는 모두 형성됐다. 한번 감염된 환자는 인체가 면역 체계를 갖춰 항체를 만들면서 재감염을 막는다. 다만 기저질환이 있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항체 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 ...
인간 포함 모든 동물 '조상' 5억5천500만년 전 화석 발굴
연합뉴스
l
2020.03.24
움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구멍 내 침전물 이동이나 땅속에 묻힌 유기물을 먹은
흔적
등은 이카리아가 입과 항문, 장 등을 갖고 있었다는 것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카리아 3D 레이저 스캔 이미지.Droser Lab 논문 공동 저자인 UCR 지질학과의 메리 드로서 교수는 "이는 진화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펭귄이나 시체를 많이 발견하지 못해 병이 돈 것은 아닐 것으로 추정했다. 펭귄의 이주
흔적
도 없었다. 코숑섬 근처의 작은 섬에는 1만 7000쌍의 킹펭귄이 살고 있는데 90만 마리가 사라진 이유를 설명하기엔 부족했다. 연구팀은 유력한 후보로 바다 수온의 변화로 인해 펭귄이 더욱 멀리 헤엄쳐야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