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감염 예방하려면 얼굴 만지는 습관부터 버리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3.06
발생한 ‘복혜정사’라는 불교사찰 화장실 손잡이와 방석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흔적
을 발견했다. 이달 3일까지 7명이 숨진 경북 청도대남병원도 병원에서 일어난 집단 감염 사례로 분석된다. 실내에서 감염 우려가 커지자 지방자치단체와 방역당국은 공용 공간 이용을 줄이고 일상 접촉을 ... ...
초대질량블랙홀이 만든 빅뱅 이후 최대 폭발
흔적
확인
연합뉴스
l
2020.03.03
빅뱅 이후 우주에서 관측된 것 중 가장 규모가 큰 폭발이 확인됐다. 이 폭발의
흔적
은 지구에서 약 3억9천만광년 떨어진 뱀주인자리 은하단의 중심에 있는 한 대형 은하의 초대질량블랙홀(SMBH) 주변에서 포착됐다. 미국 해군연구소의 천문학자 시모나 지아친투치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
2020.02.15
전염병 전장이다. 초기 의학의 진화 동굴 벽화나 구석기 유적을 보면 외과 수술의
흔적
이 있다. 얼마나 치료 효과가 있었을지 의문이지만, 아무튼 의학적 시술의 역사는 문자가 없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임호테프를 시작으로 몇몇 의학의 선구자가 나타났다. 기원전 280년경 고대 그리스의 ... ...
차별이 통증보다 아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하고 있다. 우 교수는 “차별은 결국 한 사람의 몸에
흔적
을 남긴다”며 “이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기반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주말N수학]수학돌 '투바투'와 분수의 기원
수학동아
l
2020.02.08
다양한 분수의 연산이 아닌 단위분수의 합이 각각 같아지는지에 중점을 두고 계산한
흔적
에서 공평한 분배를 위해 분수가 쓰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모든 분수를 단위분 수(분자가 1인 분수)로 나타내고, 이 단위 분수들의 합을 계산했다. 이때 2/3 만 예외적으로 단위분수가 ... ...
[에코리포트]영구동토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24
영구동토가 녹아내리면서 매머드의 뼈나 상아 등이 속속 발견됐습니다. 멸종 동물의
흔적
은 비싼 값에 팔려 ‘하얀 금’이라고도 불렸지요. 이런 상아 사냥꾼들을 만나 그들의 사냥을 취재한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자유유럽방송 아모스 카펠 사진 기자입니다. 전화 인터뷰로 그의 이야기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뒤끝이 매끄럽지 않았던 뉴턴은 훅의 원고나 논문을 태워버리는 등 왕립학회에서 훅의
흔적
을 하나씩 지웠다. 일화에 따르면 왕립학회가 이사할 때 훅의 초상화를 잃어버려 훅의 공식 초상화가 전해지지 않은 것도 뉴턴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뉴턴은 말년에 공직에 진출하기도 했었다. ... ...
지구 최고(最古) 소행성 충돌구는 호주 '야라부바'
연합뉴스
l
2020.01.22
전 충돌…초기 '눈덩이지구' 끝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논문 캡처] 지구에서
흔적
이 남아있는 소행성 충돌구 중 가장 오래된 것은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 있는 '야라부바'(Yarrabubba)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충돌구는 약 22억2천900만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기존 최고(最古) 충돌구보다 ... ...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6600만 년 전 공룡을 사라지게 한 대멸종의 원인이 소행성 뿐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한때 지구를 지배한 공룡을 사라지게 한 가장 직접적 원인은 소행성 충 ... 바다 상층부의 생명체도 사라졌다는 것이다. 소행성 충돌 전 암석층에선 산성화의
흔적
이 발견되지 않았다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채집한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조개껍데기의 외관을 분석한 결과 4분의 1 가량은 마모
흔적
없이 매끈하고 광택이 있었다. 이는 조개가 살아있을 때 해저에서 수집됐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현재 10m 이상 깊이에 사는 백합조개를 잡으려면 작은 배를 이용해 낚시를 하거나 스쿠버 다이버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