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깊은 불황 늪에 빠진 석유화학 산업
2024.12.11
투자를 계속하고 있었다. 특히 나프타·에틸렌·프로필렌 등의 범용 소재의 자급율이
100
% 가까이 늘어났다. 우리 석유화학 산업계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악재일 수밖에 없다. 거대한 중국 시장이 사라져 버린 것도 모자라 이제는 국제 시장에서 중국산 범용 소재와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 ...
[사이언스게시판] 지재위·대법원, 글로벌 지식재산협력 국제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국가기관으로는 최초로 'K-RE
100
(한국형 재생에너지
100
)'에 가입하고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 전환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과천과학관은 탄소중립에 관한 과학적 이해 증진과 탄소중립 문화 확산을 실천하기 위한 '탄소중립 기본계획'을 수립해 에너지 ... ...
이차전지 인력 수요 7년간 지속 증가…채용 공고 절반 수도권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965건) 순으로 수요가 많았다. 석·박사 인력에 대해서는 소재 개발자 468건, 데이터과학자
100
건, 소재·셀·모듈·팩 생산 및 공정 기술 엔지니어 99건 순으로 수요가 나타났다. 대부분의 직무에서 수도권의 수요가 타 지역 대비 많은 가운데 데이터과학자(58.3%)와 SW 개발자 (52.2%)의 수도권 수요가 특히 ... ...
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하는 에너지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에너지 수확 방법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기술 대비 출력이 10배 높고 전류가
100
초 이상 지속 생성되는 기술이다. 압전과 마찰전기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은 순간적으로 높은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내부 저항이 높기 때문에 전류가 짧게 흐르는 한계가 ... ...
지름 10m 불과한 초소형 소행성까지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적외선 관측에 강한 JWST의 데이터가 소행성을 찾는 데 유리하다. 정밀 분석 결과 지름
100
m 이내의 작은 소행성 138개가 새로 발견됐다. 그중에는 지름 10m 정도로 지금까지 소행성대에서 관측된 소행성 중 가장 작은 것도 있었다. 작은 소행성을 관측하면 운석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찾고 지구로 접근할 ... ...
초미세먼지보다 무서운 '응축성 미세먼지' 경고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개발한 기술의 핵심은 냉각과 흡수를 모두 이용한다는 점이다.
100
℃ 이상의 배기가스가 굴뚝에서 배출되기 전 미리 상온 가까이 냉각시키고 가스가 기체에서 액체로 변하면 먼저 필터로 수분기를 제거하고 응축성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이렇게 배기가스에서 수분기와 응축성 ... ...
눈물은 어떻게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07
위쪽에 있는 눈물샘에서 눈물이 나와요. 1분에 약 15번 눈을 깜빡이고 약 1.2마이크로리터(
100
만분의 1리터)의 눈물이 나옵니다. 눈을 덮고 남은 눈물은 눈 안쪽 눈물점으로 흘러간 뒤 코안에 있는 눈물주머니를 거쳐 눈물관으로 흘러가요. 눈물관에서 코로 넘어가 콧물로 나옵니다. 눈물이 나는 과정. ... ...
표준연, 양자컴퓨팅 양자전환(QX) 스케일업 밸리 종합포럼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6
공동 주관한 이번 행사는 양자기술 분야 산·학·연·관 주요 관계자
100
여 명이 참석했다. ‘양자컴퓨팅 양자전환(QX)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의 1차년도 성과를 종합하고 양자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청사진을 공유했다. 이호성 KRISS 원장, 장호종 대전광역시 경제과학부시장, 이용관 ... ...
[동물do감] 기생 식물 번식 비밀 품은 개미·귀뚜라미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연구원팀은 발라노포라 서브쿠풀라리스의 번식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식물을
100
시간 이상 야생에서 관찰하고 꽃이 피거나 열매를 맺는 기간 동안 수만 장의 자동 야간 사진을 찍었다. 어떤 동물이 발라노포라 서브쿠풀라리스를 찾는지 관찰한 것이다. 관찰 결과 연구팀은 개미와 낙타 ... ...
"북극 해빙 볼 수 있는 날, 불과 3년 남았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에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얼음 없는 날은 북극에서 한 달 평균 해빙 면적이
100
만제곱킬로미터(㎢) 미만이 되는 상태다. 지구 온난화가 얼마나 북극을 위협하고 있는지 가늠하는 지표다. 북극 해빙은 햇빛을 우주로 반사해 북극을 온난화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이다. 해빙이 줄면 바닷물이 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