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0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고] 달에 가려면 로켓맨의 맥(脈)을 살려야
2024.10.04
이러한 일련의 계획이 한 치의 오차 없이 완결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도 달로켓 1단에
100
톤 엔진 5개를 사용하느냐 7개를 사용하느냐를 두고 갈피를 못 잡고 있다. 또 달로켓 개발 주관기관과 산업체 간의 지식재산권 다툼을 보면 염불보다 잿밥만 탐하는 모습이 어른거린다. 기업으로 이직하려는 ... ...
MS·구글 등 빅테크 명운 쥔 '탄소 먹는 공장' 가보니
SEIZE
l
2024.10.04
세계경제포럼에 쓴 칼럼에서 "DAC 기술이 널리 적용되려면 탄소 제거 비용이 톤당
100
달러(한화 약 13만 원) 가까이 내려와야 한다”고 썼다. 클라임웍스의 탄소 제거 비용은 톤당
100
0달러(한화 약 130만 원)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에너지부(DOE)도 현재 탄소 제거 비용이 톤당 225~600달러 ... ...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의 수가 800억 개 이상의 신경세포를 가진 인간의 뇌보다 약
100
만 배 적지만 뇌 기능을 활용한 정교한 활동을 수행한다. 비행을 하며 주변을 탐색하거나 동료 초파리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등 복잡한 행동양상을 보인다. 과학자들은 이처럼 복잡한 행동을 수행하는 ... ...
지구 번개구름, 더 오래 넓게 '방사선'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감마선 방출 현상을 새로 확인했다. TGF는 지속시간이 최대
100
㎲(마이크로초, 1㎲는
100
만분의 1초)인데 FGF는 최대 250ms(밀리초, 1ms는
100
0분의 1초)로 더 길다. 총 24회의 FGF 중 17번에는 번개가 뒤따랐다. 연구팀은 FGF가 뇌운의 번개 발생에 기여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측했지만 아직 확실하지는 않다. ... ...
[과기원NOW] KAIST, 국내 대학 최초 표준특허 수입
100
억 돌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국제핵심 특허로 등록한 동영상 압축 기술이 국제 표준 특허 등록 뒤 누적 기술료
100
억원을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이 기술은 김문철·박현욱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2014년 미국 컬럼비아대와 함께 국내 대학 최초로 국제표준 특허로 등록한 '고효율 동영상 압축 기술(High Efficiency Video Coding, ... ...
바이오 기술 개발 6개국 공동연구에 한국 5개 팀 선정…5년 간 250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고부가 가치 산업을 창출할 계획이다. 각 국가는 선정된 자국 연구팀에게 매년 미화
100
만 달러(약 13억1890억원)씩 5년간 총 500만 달러(약 65억 9450만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한국의 경우 선정된 5개의 연구팀에게 올해 10월부터 2029년 9월까지 5년간 연구팀당 매년 50억원 규모를 지원할 예정이다. ... ...
의정갈등 불똥 튄 의료·바이오 벤처…임상 지연에 비용만 '줄줄'
동아사이언스
l
2024.10.01
줄어들었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기존에 병원에서 주사기를
100
개 썼다면 지금은 환자가 줄어 그 만큼의 주사기가 필요하지 않고 검사 건수가 줄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의료기기 인허가 컨설팅 전문기업들도 컨설팅 의뢰가 줄어 마찬가지로 의정 갈등 영향을 받고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어린이과학관, 개천절 기념 과학문화축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국립어린이과학관 '2024 개천절 기념 과학문화축제' 홍보 포스터. 국립어린이과학관 제공 ■ 국립어린이과학관은 개천절을 맞이해 3일부터 6일 ... 개원 30주년을 기념해 이달 한 달 동안 주말마다 '열린과학 투어'도 개최한다. 하루
100
명을 대상으로 연구원 투어와 참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
500원 동전 크기 '마찰 발전기'로 전구
100
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동전 크기의 마찰발전소자는 전구 1개당 출력이 50mW(밀리와트)인 발광다이오드(LED) 전구
100
개를 밝힐 수 있을 정도의 전원을 공급했다. 주변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온겔 전기이중층(iEDL) 마찰전기 발전 시스템의 성능 테스트 결과. 화학연 제공 연구팀은 발생한 전기를 ... ...
시야장애 뇌졸중 환자에 '디지털 치료제' 국내 첫 처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전문기업 ‘뉴냅스’를 창업하고 2022년 10월부터 10개월간 국내 의료기관 12곳에서 환자
100
여명 대상으로 비비드브레인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환자의 시야 민감도가 유의미하게 호전됨을 입증했다. 시야장애는 뇌졸중 환자의 약 20%가 경험하는 후유증이다. 시각피질인 후두엽이 손상돼 일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