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9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연구 생활을 하며 한 협업 중 가장 훌륭한 것”이라며 “DNA 나노 기술 분야와 화학
공학
및 유체 역학 분야의 사람들에게 많은 피드백을 받아 이런 연구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최기영 과기장관 후보자 "일본 수출 규제 대응 최우선 과제"(종합)
2019.08.09
이밖에도 과기부 장관으로써 해결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내부적으로는 정통 전자
공학
분야의 전문가로써 통신 중심의 정부 IT 정책 쏠림현상을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심사다. 관계부처와 소통하며 미세먼지와 같은 사회현안과 기초연구 등 과학계 현안도 풀어내야 한다. 과학기술 분야 ... ...
최기영 과기후보자, 대운하·세월호·역사서 국정화 비판한 '참여형
공학
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하는 방향이 맞다”이라며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한편 최 후보자는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에서 지난해 73년만에 처음으로 여성 교원을 임용할 당시 인사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최 교수는 올해 3월 서울신문에 “여성 교수를 뽑기 위해 공고를 냈더니 2~3명 지원하던 여교수들이 20명 넘게 ... ...
[전문]청와대 인사발표 브리핑 전문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 최기영, 최기영 장관 후보자는 현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로서 반도체 분야 세계적인 석학입니다. 우리나라가 메모리반도체 세계 1위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해왔으며, 현재도 AI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국내 반도체 연구·산업 발전의 ... ...
최기영 과기 장관 후보자 저전력·AI반도체 석학…"학계 신망 두터운 연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1991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저전력 반도체 시스템 연구에 집중했다. 2016년 국제전기전자
공학
회(IEEE) 석학 회원이 됐다. 금성사 재직 시절 경험과 최근 인공지능 구현 뉴로모픽 칩 등 지능형 반도체 연구한 경험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후보자는 학계에서 신망이 두터운 연구자로 알려졌다. ... ...
최기영 과기장관 후보자 소재부품 국산화,'좀비'된 과기원 출구전략 등 난제 수두룩
2019.08.09
비전과 추진 역량이 집중적으로 평가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정통 전자
공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그간 통신 중심의 정부 IT 정책의 쏠림현상을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된다. 5G 통신 정책도 망 구축 중심을 주도하는 통신사 중심의 정책이 아니라 부처의 틀을 깨고 산업과 사회 인프라로서 어떻게 ... ...
과기부장관 후보자에 지능형 반도체·AI 전문가 최기영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받았다. 현 LG전자 전신인 금성사 중앙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제전기전자
공학
회(IEEE) 석학회원, 서울대 뉴럴프로세싱 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는 대전고와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 ...
AI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국산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새로운 물질이 발견되는 일들이 흔히 일어나고 있다. 노준석 포스텍 기계
공학
과 및 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15일 AI 기술인 딥러닝을 이용해 투명망토나 스텔스 잠수함 등에 들어가는 핵심 소재인 메타물질을 발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하정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제공 복사냉각 방식으로 빌딩을 식히는 연구는 처음은 아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전기
공학
과 샨후이 팬(Shanhui Fan) 교수는 2014년 11월 전기를 쓰지 않고 빌딩을 식히는 ‘광 복사냉각’ 장치를 개발해고안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발표했다. 흔히 열은 물질을 흐르는 전도나 가열된 ... ...
항생제 부작용 없는 천연항균물질 증산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천연항균물질 생산을 현행보다 크게 늘리는 방법이 개발됐다. 최윤재 서울대 농생명
공학
부 교수와 조종수 교수 연구팀은 유산균이 천연항균물질 생산을 늘리도록 하는 다당체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이달 8일 밝혔다. 화학적으로 합성한 항생제로 인한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과학자들은 차세대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