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90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그는 이어 "환경보호와 관련된 논쟁은 사회적 가치와 철학의 문제이기 때문에
공학
적 시각으로만 접근하기 상당히 어렵다"며 " 환경보호와 개발 사이에 어떤 것을 더 우선으로 둬야 할지는 사회 지도자와 국민 공감대가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6호(8 ... ...
[표지로 읽는 과학] 산불로 위협받는 자연의 '탄소 저장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8.24
'네이처' 21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캐나다 자연과학및
공학
연구회의 요청과 지원을 받아 2014년 캐나다 북부 노스웨스트준주에서 발생한 역사상 초대형 화재로 인해 토양과 탄소의 양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조사했다. 북방 침엽수림 지대 200곳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하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유레카’가 훨씬 더 유명할지도 모르겠다. 시라쿠사 출생인 그는 기하학자, 기계
공학
자이면서 수리물리학자였다. 특히 수학을 현실 문제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투석기나 기중기 등 각종 기계를 만들었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에 남긴 가장 위대한 업적은 ‘유레카’로 유명한 부력의 원리를 발견한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노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남출 서울대 농생명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은 인간의 세포 구조를 유지하는 단백질인 라민의 3차원 구조를 고해상도로 규명해 라민 단백질이 어떻게 세포핵의 모양을 지탱하고 유지하는지 밝혀냈다고 23일 밝혔다. 라민은 유전물질인 ... ...
소품만 놓인 무대에 태블릿 비췄더니 ‘AR 뮤지컬’이 활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외에도 예술에 과학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국내외에서 잦아지고 있다. 오일권 KAIST 기계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키네틱 아트(움직이는 예술)’에 차세대 로봇에 활용하는 인공근육을 접목하고 있다. 19세기 말에 등장한 키네틱 아트는 간단한 기계 장치의 움직임에서 아름다움을 포착해 전달하는 ... ...
고통 느끼는 로봇 나오나…'인공피부'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물체에 닿으면 고통도 느낀다. 연구팀은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최홍수 로봇
공학
전공 교수와 함께 고통 등 감각적인 자극을 감지하고 관련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공피부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센서를 개발했다. 먼저 산화아연을 재료로 매우 작고 긴 구조물인 나노 와이어를 만들었다. ... ...
나비처럼 우아한 날갯짓 가능한 인공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구현하는 새로운 로봇용 인공근육 기술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오일권 KAIST 기계
공학
과 교수와 시마 움라오 연구원팀은 낮은 전력으로 움직이고 부드러운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새로운 인공근육(소프트 액추에이터)를 개발해 로봇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22일자에 발표했다. ... ...
서울대 공대-서울대병원, 혈액검사로 고형암 진단 예측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정밀하게 분석해 암 초기 진단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와 한원식 서울대병원 외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유전정보를 읽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술(NGS)을 활용해 단일 혈중 순환 암세포를 분리,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간단한 혈액검사로 ... ...
균일한 촉감 자랑하는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만드는 데 성공했다. KAIST 신소재
공학
과 스티브 박 교수와 오진원 연구원, 기계
공학
과 김정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심주용 연구원은 균일한 촉각을 느끼는 인공피부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미세유체공정을 이용해 균일한 크기의 미세한 공기 구멍을 지니는 고분자 ... ...
임플란트 시신경에 심어 빛 보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시력을 어느 정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
공학
’에 발표했다. 시각장애로 고통받는 인구는 전세계에서 2억 5000만 명 가량이다. 이중 눈이 아예 보이지 않는 전맹 시각장애인은 39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들을 위해 과학자들은 신경에 전기자극을 줘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