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690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뇌과학+AI' 융합연구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9.05
- 계획이다. 이번 개소식에는 박현욱 연구부총장, 조광현 연구처장, 정기훈 바이오및뇌공학과장 등 40여 명의 내∙외빈이 참석할 계획이다. 이상완 CNAI 연구센터 소장은 “인간의 두뇌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기술의 영역으로 풀어내고 이를 AI로 이식하는 신경과학-AI 융합연구는 현재의 ... ...
- [이정아의 미래병원]3D재건외과·BCI재활의학과가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9.09.05
- 20~30년전과 비교해 병원에서 이름이 바뀐 진료과들이 있다. 소아과가 소아청소년과로, 정신과가 정신건강의학과로, 방사선과가 영상의 ... 말이다. 기존 병원에서 보았던 진료과와 다른 점은 미래병원에서는 의사뿐만 아니라 공학자의 역할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진다는 사실이다 ... ...
- [과학게시판] KAIST, 日수출규제 대응 핵심기술 이전 설명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9.09.04
- 기술이 대상이다. 인공지능(AI) 미 소재부품 특허기술도 소개된다.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의 나노섬유 기반 색변화 센서 등이 대표적이다. 17일 열리는 설명회에는 기업 관계자 및 투자자 등 200여명을 초청한다. ■ 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는 4일 오후 2시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홀에서 ... ...
- 기업 유치 노력·풍부한 인재풀·親연구환경이 바이오강국 싱가포르의 성공 비결동아사이언스 l2019.09.04
- 일하는 연구원들입니다. 이 연구실과 연구장비도 모두 과학기술청 산하 마이크로 전자공학연구소(IME) 지원을 받았습니다. ” 바이오폴리스 내의 과학기술청 게놈연구소에서 취재진과 만난 박미경 원바이오메드 대표는 바이오폴리스 내의 정부 출연 연구소 IME에서 스핀오프에 성공한 주인공이다 ... ...
- 수레시 난양공대 총장 "작은나라의 젊은 대학, 협력만이 살 길"동아사이언스 l2019.09.04
- 미국 아이오와대에서 기계공학으로 석사 학위를,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시아인 최초로 2007~2010년 미국 MIT 학장, 2010~2013년 미국과학재단(NSF) 총재를, 2013~2017년 미국 카네기멜론대 총장을 지냈다. 2018년 1월 난양공대 제4대 총장으로 부임했다. 난양공대는195 ... ...
- 대량생산 가능한 천 형태 이산화질소 센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9.04
- KIST)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선임연구원과 이승기 선임연구원, 정희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연속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섬유 형태의 이산화질소 센서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가 일상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여러 소재와 결합해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 ...
- KAIST, 퇴직 교수와 신진 교수 협업하는 '초세대 협업 연구실' 추가 개소동아사이언스 l2019.09.03
- 새롭게 선정된 두 연구실은 향후 5년간 총 5억 원의 운영비를 지원받게 되며 바이오디자인공학 연구실는 지난 26일 현판식을 열었다. 나노포토닉스 연구실의 현판식은 오는 11월 진행될 예정이다. KAIST는 2031년까지 초세대 협업 연구실을 6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 ...
- 최기영 "당장 탈핵하자는 것 아냐. 원자력 연구 이어가야"동아사이언스 l2019.09.02
- 과방위) 인사청문회에서 최연혜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원자력공학과에서 연구하는 것은 꼭 원자력발전소를 짓는 것이 아니며 원자력 해체 기술도 많은 연구가 이뤄진다”며 “사고가 나면 그 피해가 얼마나 큰지가 문제”라고 말했다. 최 후보자는 원자력발전소와 관련한 김성수 ... ...
- 공학한림원, 제4회 차세대공학리더상 수상 후보자 모집동아사이언스 l2019.09.02
- 원이 각각 수여된다. 접수는 이달 30일까지다. 공대 교수의 추천서와 활동경력 등을 한국공학한림원 홈페이지(www.naek.or.kr)에 접수하면 된다. 서면심사와 발표심사를 거쳐 11월 최종 수상자를 선정, 발표한다. ... ...
- KAIST 참여 연구팀, 美 탐색로봇 대회 2위과학동아 l2019.09.02
- 한국 KAIST 연구팀이 참여한 국제연구팀이 2위를 차지했다. 심현철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메사추세츠공대(MIT)가 참여하는 차세대 자율형 지하공간 탐색로봇 연구팀 ‘코스타(CoSTAR)’는 8월 15~22일 미국 피츠버그의 광산 ... ...
이전5015025035045055065075085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