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90건 검색되었습니다.
VR·AR 품질 높일 '빛 레이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UNIST 연구팀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3차원 영상에서 유리면(하늘색)과 허상(붉은색)을 검출했다. 고품질 3차원 공간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전자
공학
및 인공지능 분야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
공학
회 패턴분석 및 기계지능’ 8월호에 발표됐다. ... ...
서울대 산학협력단장의 고언 "年1000건 서울대 특허도 4분의 3은 실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기업이 쓸 만한 소재, 부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윤의준 서울대 산학협력단장(재료
공학
부 교수)은 ‘증거’에 기반해 기술을 평가하고 바라봐야 한다고 믿는 냉철한 현실주의자다. 발광다이오드(LED)를 연구하는 소재, 소자 전문가인 그는 기술의 가장 정직한 증거로 특허를 꼽는다. 하지만 그가 ... ...
문재인 대통령,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임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1991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저전력 반도체 시스템 연구에 집중했다. 2016년 국제전기전자
공학
회(IEEE) 석학 회원이 됐다. 금성사 재직 시절 경험과 최근 인공지능 구현 뉴로모픽 칩 등 지능형 반도체 연구한 경험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AI 반도체 연구를 수행하는 뉴럴프로세싱연구센터(NPRC) 센터장을 ... ...
대학에 방치된 연구장비, 한 곳에 모아 연구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전문센터 역시 대학과 중소기업 모두에 문이 열려 있다. 김성수 센터장(경희대 화학
공학
과 교수)은 “기업이 70% 이상으로 가장 수요가 많다”며 “인근에 삼성전자가 있다 보니 좋은 소재나 부품을 개발해 기업에 제안하고 싶어 하는 중소기업이 많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들이 대부분 체계적인 ... ...
2020년 도심 달릴 초소형전기차 디자인 IDEA서 호평
동아사이언스
l
2019.09.08
세계적인 디자인 공모전에서 상을 받았다. 정연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 및 인간
공학
부 교수는 IDEA 디자인 어워드에서 초소형 전기차 콘셉트 디자인 어반(Urban)‘이 자동차 및 운송 부문 본상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IDEA는 미국 산업디자이너협회가 주관하는 국제 디자인상으로 독일 iF와 ... ...
화학硏 차세대 면역항암제 CAR-T 기술 앱타이론바이오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항암제다. 그 가운데 CAR-T세포치료제는 암세포의 항원을 인식하는 수용체를 세포
공학
등으로 설계해 그 유전자를 면역세포인 T세포에 삽입한 치료제다. 임상에서 높은 암세포 인식률과 치료효과를 보여 최근 주목 받고 있다. 이번에 기술이전된 기술은 박지훈 화학연 의약바이오연구본부 ... ...
촉각세포 모방한 전자피부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촉각세포를 모방한 전자 피부를 개발했다. 한양대 화학
공학
과 김도환 교수와 인도 출신의 비핀 아몰리 박사, 지은송 김주성 연구원 연구팀은 사람 피부에 있는 촉각세포를 모방해 기존 촉감센서보다 30배 성능을 끌어올린 전자피부 소재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 ...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전극 저온 제조 실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전극에 비해 안전성과 경제성이 높아 상용화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대 신소재
공학
과 윤순길 교수(사진)와 트란 반당 연구원은 약 100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그래핀 전극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 ...
"독자 우주청 어렵다면 과기부 산하 외청 신설해 독자 기획·예산권 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발표자로 나서 우주청 신설을 주장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탁민제 KAIST 항공우주
공학
과 교수는 5일 “소속 인력이 장기간 우주 분야에 근무하며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상을 가진 우주청이 설치돼야 한다"고 말했다. 탁 교수는 5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뉴스페이스 시대 ... ...
에베레스트산에서 조난 당해도 달려갈 헬기 뜬다…서울대팀, 헬기기술 경진대회서 준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차지했다. 연구팀 지도는 이관중 서울대 교수와 김창주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
공학
과 교수가 맡았다. 대회 1등은 미국 메릴랜드대 캘러드리우스팀이 차지했다. 이 팀은 헬기 로터의 주날개(블레이드)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로터에 베어링을 없애 구조 임무 때 발생할 다양한 상황에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