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전자귀'다. 예컨대 1백억광년 떨어진 퀘이사가 낸
빛
까지도 추적할 수 있다. 달에서 오는
빛
이라면 촛불까지도 쪽집게처럼 집어낼 수 있다.우주의 생물체가 보내는 전파를 포착한다는 것은 참으로 흥분되는 일이다. 1982년 국제천문연합에서 이 문제가 처음 거론됐으므로 10년만에 그 꿈을 실현할 수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브라질이나 말레이시아 같은 당사국은 나무를 팔지않고 어떻게 당신네 선진국에 진
빛
(외채)을 갚을 수 있느냐고 맞선다. 또 선진국과 개도국으로만 진용이 나뉘는 것은 아니어서 같은 선진국 중에도 이산화탄소배출량 삭감에 미온적인 미국은 EC나 노르딕(스웨덴등 지구환경문제 해결의지가 높은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구멍이 나 있다. 그리고 원형탈모증 환자는 손톱에 작은 돌기가 생길 수 있고, 손톱에 흰
빛
이 도는 가로줄이 나타나면 혈액내 알부민의 부족 또는 유독화학약품에 기인한 신장질환에 걸렸을 가능성이 크다.'손톱처럼 강하게'란 표현이 있듯이 손톱은 웬만한 외부자극에는 잘 견뎌낸다. 그러나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그러나 이 호화비행선은 1937년 5월 수소가스 폭발사고로 많은 희생자를 낸 후 점차
빛
을 잃어갔다. 또 날개가 달린 성능좋은 비행기가 개발점에 따라 비행선은 장점을 가질 수 없었다. 현재 가끔 떠 다니고 있는 비행선은 수소 대신에 안전한 헬륨가스를 쓰고 있는데 선전용이나 기타 특수한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사용해도 은하계는 색깔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멀리서 벌어지는 모든 회색
빛
폭력은 우리의 잘못된 인식일 뿐이다.천연색 필름을 이용하면 우주는 갑자기 그 아름다움을 자태뿐 아니라 색깔로 나타낸다. 물론 천문학자들은 필름으로부터 얻은 그 천연색 영상이 과연 '현실'인지 잘 몰라 저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별자리인 큰개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가 인용되고 있음을 지적해 둔다.네째 목성은 노란
빛
을 띤 행성이다. 붉은 행성은 화성 하나 뿐이다 실제로 한 번이라도 목성을 본 사람이라면 이것은 쉬운 문제이다. 요즘은 마침 목성을 관측하기 이주 좋은 때이니 한 번씩 찾아 보기 바란다. 찾는 요령은 이 ... ...
하이테크 압력식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열을 이용한 음식의 조리는 1만년 전부터 있어왔다. 그런데 압력조리법은 왜
빛
을 보지 못했을까. 사실 고압물리학이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들어서다. 압력이 본격적으로 공업분야에 이용되기 시작한 역사가 짧다는 뜻이다. 기껏해야 세라믹가공이나 알루미늄새시의 성형가공, 워터제트(일명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내용이다. 결국 이 우주가 생을 마칠 때 그 초월적인 컴퓨터는 스스로 답을 내린다.'
빛
이 있으라!'(성경 창세기 1장)아시모프가 가고 없는 지금, 과연 우리들은 그의 무한한 상상력과 무궁무진한 가능성의 세계를 고스란히 이어받을 수 있을까? 우리는 이 질문에 확신에 찬 대답을 할 수가 없다. 그러나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세대의 카메라가 동원된다. 방법은 촬영대상물에 격자무늬를 때려 이로 발생하는
빛
의 간섭을 통해 3차원 영상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이를 보통 모아레기법이라고 하는데, 사람의 등뼈가 휘어졌는지를 파악하는 등 의학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과학의 발전으로 모아레기법의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부른다. 그것은 마치 별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비행기나 인공위성의
빛
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게 보인다.유성이라는 이름과 달리, 별똥별은 별과는 전혀 무관한 것이다. 그들은 흔히 혜성이 흘리고 간 먼지 입자로 모래 알 정도의 크기에 지나지 않으며 지구 대기 속으로 10~75km/초의 속도로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