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 풀층(초본층) 등의 3층구 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숲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들이 서로
빛
을 적당히 나누어 가지기 위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 각 층에는 여러가지 종들이 경쟁을 하면서 섞여난다. 이곳 중국 동북지방의 예로서 원식생의 잣나무-피나무군락의 키나무층에는 잣나무 신갈나무 피나무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주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적외선 펄스는 통신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고 결맞는
빛
은 결상 및 광신호처리에 한 몫을 한다. 최근에 비선형광학은 광스위치, 기억소자, 광학컴퓨터 등에 응용되고 있다. 스위칭은 광 트랜지스터, 광식별자(discriminator), 광논리회로 소자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광컴퓨터는 ... ...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비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기술적으로는 88년에 IDTV 개발을 끝냈으나 같은 이유로
빛
을 보지 못했다.이 다음단계로 등장한 것이 EDTV(Extended Definition TV). IDTV가 방송국에서의 시설 개선을 전혀 하지 않고 수상기에서 신호처리를 통해 화질향상을 도모했다면 EDTV는 방송설비도 약간 수정해서 해상도를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가끔씩 소행성 하나가 별하나의 앞을 지날때면 수초동안 별
빛
이 사라지곤 한다. 그 별
빛
이 사라지는 시간을 고려하노라면 우리는 소행성의 너비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동시에 여러명이 이를 관찰한다면 관찰위치에 따라 소행성의 너비에 얼마나 차이가 생기는가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로부터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과정으로 주위에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에너지가 수축하는 별의 표면으로 옮겨져 열
빛
의 형태로 복사되어 하나의 별이 탄생한 것이다. 바로 50만년 전에 이곳에서 일어난 일이다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밀도가 큰 해수의 입자에 의해 산란되므로
빛
이 10m정도밖에 나아가지 못하며, 강력한
빛
을 투광하면 수중부유물에 의하여 난반사되므로 시계가 불량하게 된다.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없으며, 더구나 배기가스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디젤기관과 같은 동력을 사용할 수가 없다.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누구이며 또 제도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우선 과학기술처를 꼽지 않을 수 없다. '
빛
좋은 개살구' 과기처과기처는 정부조정법상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종합적 기본정책의 수립, 기획의 종합·조정·기술협력·원자력·정보산업과 기타 과학기술 진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부처로 돼 있다.67년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북쪽에 있는 그레이빙하의 설선(雪線)이 1천m까지 내려와 거의 손에 잡힐 듯 했다.
빛
을 받아 푸른색의 광채를 발하는 빙하는 그 아래의 빙하호 쭈삣쭈삣 솟아 있는 안데스의 고봉과 더불어 파타고니아안데스의 대표적인 경관을 이루고 있다.파타고니아지방은 목축업과 어업의 자원이 예로부터 ... ...
저녁 놀
빛
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파장과 산란정도가 반비례하는 것을 밝힌데 이어 1908년에 구스타프 미(Mie)이라는 학자는
빛
의 산란과 대기중의 입자 크기의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내놓았다. 즉 대기중의 입자 알갱이들이 크면 클수록 산란은 더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또 스펙트럼상의 파란색계열뿐만 아니라 초록색이나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때문이다. 이 유성군의 유성들은 아주 밝지만 긴 꼬리를 남기지는 않는다. 이들은 밝게
빛
난 후 금세 사라져 버린다. 쌍둥이자리 유성군은 모혜성을 가지지 않는 유일한 유성군으로도 유명한데 이들은 소행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소행성은 1983년에 관측된 패톤(Phaethon)이란 이름의 소행성으로 1.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