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과학과 예술의 이해도가 높았던 시기는 19세기 후반이다. 인상주의 회화가 성행할 당시에
빛
에 대한 분석과 기계문명의 발달이 있었다.그 이후 양자가 결정적으로 멀어지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 고전 물리학이 미시물리학으로 바뀌면서였다. 사람의 눈이 아니라 현미경으로 관찰해야만 하는 현대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재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 그림과 같이 벽에 걸어서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빛
의 간섭현상과 레이저의 단파장 광선을 이용하는 반사식 홀로그램의 제작 방법은 투사식과 거의 비슷한 광학적 배열이지만, 다른 점은 피사체를 중심축으로 물체파(object beam)와 기준파(reference beam)가 서로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중요한 개념을 정리해 두었다. 그 발상은 획기적인 것이었지만 먼지에 쌓인 원고가
빛
을 보게 된 것은 무려 30여년이 지난 1972년에 이르러서였다. 추제의 아이디어는 패전국의 운명과 같았다.전승국 미국과 영국에서도 국수 뽑기식 프로그래밍의 한계를 분명히 깨닫기 시작했다. 그 선두에는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두꺼운 구름으로 덮여있어 반사율이 무려 76%에 이른다. 따라서 행성중에서 가장 밝게
빛
나 최대 -4.6등급까지 된다.금성도 수성과 비슷한 운동을 하지만 이각이 크고 회합주기는 2백43일로서 좀 더 높은 고도에서 오랜 기간의 관측이 가능하다. 그 위상도 연속관측하면 약간 이그러진 원형에서 마치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컴퓨터가 출현하기 전까지는 거의 불가능하다가 최근의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그
빛
을 보게 된 것이다.2차원 영상에서 한개의선에 해당되는 1차원 데이터들로부터 그 데이터를 만들어내게 한 2차원의 단면 영상을 복원해 내는 것이다. 이 2차원 단면은 척추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매우 얇은 두께의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거칠고 성글다. 특히 등과 옆구리 등이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어 멀리서 보면 녹슨 쇳
빛
을 발산한다. 하지만 겨울에는 성근 털 밑에 곱슬곱슬한 속털이 나며 겉은 회갈색이다. 다리 안 쪽은 언제나 엷은색을 띠고 있다. 꽁무니는 여름철에는 노란색 또는 연한 주황색을 띠나 겨울에는 백색 반점이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등을 이용했다.(4) ① 고대 사람들은 어느 민족이든 태양을 숭상했다. 어떤 생물도 태양
빛
을 받지 않으면 살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인간이 처음 발견한 불은 그것을 이용하기에 앞서 경외의 대상이었다. 힌두교의 이구니신, 영국의 스톤헨지, 잉카제국의 거대건축물들을 봐도 당시 사람들이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도달시간 차이는 광파의 파장성분이 여러 가지일 때도 일어난다. 파장이 달라지면
빛
의 색깔이 달라지고 광섬유를 통과할 때의 굴절률 또한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앞으로 광통신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레이저광에 정보를 싣는 방법은 손전등으로 ... ...
고선명 텔레비전(HDTV)에는 필수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전파를 쏘아야 한다. 따라서 태양전지 패널도 커야하고 잠시라도 달이나 지구가 태양
빛
을 가리면 운영이 정지될 수밖에 없다. 이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방송을 안하는 시간대에 식(食)현상이 일어나도록 궤도를 잘 정해야 한다.위성방송의 최대의 난제는 전파의 국경침해. 현재 우리나라도 ... ...
블랙홀인가, 또 다른 미지의 천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라지고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파괴원의 크기를 나타내준다. 천체의 밝기가
빛
이 그 직경을 횡단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빨리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대파괴원은 2광일(光日), 즉 명왕성의 공전궤도 직경보다 4배이상 크지는 않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어쩌면 이보다 훨씬 더 작을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