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락할 수 없다.
빛
이 아닐지라도 아무 것도 빠져 나올 수 없다. 다른말로 이야기하면
빛
과 물질 그리고 물리학자 등 모든 것들이 사건지평선을 통과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은 자유다. 그러나 아무 것도 나오지 못한다.사건지평선의 한길 너머에 대해 휠러(John Wheeler)가 1967년 뉴욕 학술회의에서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과학과 예술의 이해도가 높았던 시기는 19세기 후반이다. 인상주의 회화가 성행할 당시에
빛
에 대한 분석과 기계문명의 발달이 있었다.그 이후 양자가 결정적으로 멀어지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 고전 물리학이 미시물리학으로 바뀌면서였다. 사람의 눈이 아니라 현미경으로 관찰해야만 하는 현대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는데, 한 곳에 차분히 자리를 잡은 센서가 그 안에서 계속
빛
을 사방으로 쏜다. 바로 이
빛
을 통해 건물이 받는 외압과 스트레스 등이 측정되는데 그 오차는 무시할 정도로 적다고 한다.물론 가급적 많은 센서를 투입해야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허스턴은 힘을 계속 받는 곳 두 부위에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유성중 큰 불꽃을 내며 타는 것)라고 부르는 것은 대부분 이것이다. 이 화구가 내는 불
빛
은 사람의 그림자를 드리우게 할 정도로 밝다. 물론 타다남은 찌꺼기는 지상에 떨어져 운석공(운석이 남긴 흔적)을 만들기도 하고 운석으로 채취되기도 한다.이번에 발견된 소행성 1991BA는 지금까지의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컴퓨터가 출현하기 전까지는 거의 불가능하다가 최근의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그
빛
을 보게 된 것이다.2차원 영상에서 한개의선에 해당되는 1차원 데이터들로부터 그 데이터를 만들어내게 한 2차원의 단면 영상을 복원해 내는 것이다. 이 2차원 단면은 척추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매우 얇은 두께의 ... ...
블랙홀인가, 또 다른 미지의 천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라지고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파괴원의 크기를 나타내준다. 천체의 밝기가
빛
이 그 직경을 횡단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빨리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대파괴원은 2광일(光日), 즉 명왕성의 공전궤도 직경보다 4배이상 크지는 않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어쩌면 이보다 훨씬 더 작을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찾기가 상당히 어렵다. M33을 보기 위해서는 어두운 밤이 필수적이며 쌍안경이 그 희미한
빛
을 농축하기 때문에 망원경에 비해 더 효과적이다. 관측자들은 때때로 M33이 그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더 크기 때문에 그냥 스쳐지나가는 수가 있다.기타 문의 사항이나 아마추어 천문에 관심을 가지고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순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되면 소수 캐리어(carrier)가 주입돼 전자-정공 재결합이 일어나
빛
이 방출된다.LED 기술 발전의 핵심은 복사성 재결합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켜 광출력을 극대화하는 것에 있다. 오늘날 상품화된 LED는 한개의 광자를 방출하는데 1백여개 정도의 주입전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도달시간 차이는 광파의 파장성분이 여러 가지일 때도 일어난다. 파장이 달라지면
빛
의 색깔이 달라지고 광섬유를 통과할 때의 굴절률 또한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이 앞으로 광통신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레이저광에 정보를 싣는 방법은 손전등으로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말이다. 그러나 이 경우 질문 자체가 완전히 틀렸다고 할 수 있다. 원래 별이란 '스스로
빛
을 내는 천체'만을 가리킨다. 따라서 위의 '별'은 '행성'이라고 고쳐 물어야 옳은 것이다. 밤하늘에서 눈에 잘 띄는 화성도 역시 붉게 보이는 별이 아니라 행성이라고 표현해야만 옳은 것이다.이와 같은 예를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