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누구이며 또 제도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우선 과학기술처를 꼽지 않을 수 없다. '
빛
좋은 개살구' 과기처과기처는 정부조정법상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종합적 기본정책의 수립, 기획의 종합·조정·기술협력·원자력·정보산업과 기타 과학기술 진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부처로 돼 있다.67년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밀도가 큰 해수의 입자에 의해 산란되므로
빛
이 10m정도밖에 나아가지 못하며, 강력한
빛
을 투광하면 수중부유물에 의하여 난반사되므로 시계가 불량하게 된다.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없으며, 더구나 배기가스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디젤기관과 같은 동력을 사용할 수가 없다.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북쪽에 있는 그레이빙하의 설선(雪線)이 1천m까지 내려와 거의 손에 잡힐 듯 했다.
빛
을 받아 푸른색의 광채를 발하는 빙하는 그 아래의 빙하호 쭈삣쭈삣 솟아 있는 안데스의 고봉과 더불어 파타고니아안데스의 대표적인 경관을 이루고 있다.파타고니아지방은 목축업과 어업의 자원이 예로부터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때문이다. 이 유성군의 유성들은 아주 밝지만 긴 꼬리를 남기지는 않는다. 이들은 밝게
빛
난 후 금세 사라져 버린다. 쌍둥이자리 유성군은 모혜성을 가지지 않는 유일한 유성군으로도 유명한데 이들은 소행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소행성은 1983년에 관측된 패톤(Phaethon)이란 이름의 소행성으로 1.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첨단사진기술의 부산물로 탄생한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과학의 힘을 빌려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 새로운 문화매체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마치 실제의 입체 조 ... 그 성질을 가진
빛
이 레이저 광선이다. 인공적으로 직진성이 좋은 단일한 파장을 생성해내는 제3의
빛
이 레이저인 셈이다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는데, 한 곳에 차분히 자리를 잡은 센서가 그 안에서 계속
빛
을 사방으로 쏜다. 바로 이
빛
을 통해 건물이 받는 외압과 스트레스 등이 측정되는데 그 오차는 무시할 정도로 적다고 한다.물론 가급적 많은 센서를 투입해야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허스턴은 힘을 계속 받는 곳 두 부위에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유성중 큰 불꽃을 내며 타는 것)라고 부르는 것은 대부분 이것이다. 이 화구가 내는 불
빛
은 사람의 그림자를 드리우게 할 정도로 밝다. 물론 타다남은 찌꺼기는 지상에 떨어져 운석공(운석이 남긴 흔적)을 만들기도 하고 운석으로 채취되기도 한다.이번에 발견된 소행성 1991BA는 지금까지의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락할 수 없다.
빛
이 아닐지라도 아무 것도 빠져 나올 수 없다. 다른말로 이야기하면
빛
과 물질 그리고 물리학자 등 모든 것들이 사건지평선을 통과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은 자유다. 그러나 아무 것도 나오지 못한다.사건지평선의 한길 너머에 대해 휠러(John Wheeler)가 1967년 뉴욕 학술회의에서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해당하는 붉은 색 알데바란과 마차부자리의 노란색 카펠라는 남서쪽에서 유난히 밝게
빛
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겨울을 알리는 쌍둥이자리와 오리온자리가 떠오를것이다.이달의 행성들금성 초순에는 새벽에 사자자리에서 볼 수 있으나 곧 처녀자리의 경계선을 지나 29일에는 스피카 옆에 있게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꺼낸다.정답(1) ③올빼미의 눈은 밝은 낮보다는 밤에 더욱 잘 보이도록 돼 있다. 그들은
빛
이 조금만 있어도 먹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밝은 낮에는 거의 장님처럼 앞을 볼 수가 없다. 올빼미의 귀는 아주 작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작은 소리만 나도 먹이가 있는 장소를 찾아 갈 수 있을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