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 대칭이면 임신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아니라 유행에 의해 진화되었다는 논리에 수긍이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대신에 많은
학자
들은 좋은 유전자 이론을 지지했다.이 이론에 따르면, 암공작은 자식들이 짝짓기를 잘하는 것보다는 생존을 잘하도록 하기 위해 길고 화려한 장식꼬리의 공작을 선택한다. 수컷의 장식이 개체의 건강,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것이 많고 밀착용 인화지는 염화은을 주로 함유한 유제가 사용된다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
학자
인 노이만(J L von Neumann)이 제시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컴퓨터 노이만은 1946년, 현재의 컴퓨터와 같이 기억장치에 컴퓨터의 명령과 수치를 함께 기억시키는 이른바 내장방식(stored program)을 제안했는데, ... ...
5. 한국유전공학의 메카 생명공학연구소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전략이자 소신이다.명박사는 25년간 미국 아이오아대학에서 수학을 연구했던 세계적인
학자
로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던 앨버트 문제를 푼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부원장직을 맡게 된 것은 국제학술회의 개최 등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 그러나 정작 명박사는 "고등과학원 교수로서 연구와 ... ...
1. 정신유전자는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분열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일수록 교차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밝혀낸 유명한 생물
학자
모르간의 이름을 따 cM이라는 단위가 생겼다.이 유전자 지도는 미국의 유수 과학잡지 사이언스(Science)와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인터넷에 제공한 유전자 지도 정보를 근거로 제작했다 ... ...
5. UFO와 인간 어떤 관계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위해 자기 인종과 지구인의 혼혈종을 교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외계인 피랍을 연구한
학자
들은 사회문화적 대공황을 염려하고 있다. 만약에 있을지도 모를 외계인의 존재와 만남이 공식 발표된다면 사회문화적으로 엄청난 충격이 올 것이라는 점이다. 대규모의 쇼크는 사회문화적 차이가 너무 큰 ... ...
1. 로스웰 UFO 추락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영화 한편이었다.영화 제목은 ‘도착’( The Arrival). 제트추진연구소에서 일하는 전파 천문
학자
제인은 어느날 외계은하 늑대 336지역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한다. 그러나 이 사실은 은폐되고 함께 일하던 동료마저 살해당한다. 제인은 이 사건을 파헤치기 위해 20개의 가정용 위성안테나를 연결해 ... ...
3. 2004년 인간 설계도 완성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그러므로 생물들사이의 이타적인 행동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런데 영국의 동물행동
학자
인 도킨스박사는 이런 자연선택은 개체나 종이 아닌 유전자에 의한 것이라는 유전자 선택론을 주장한다. 바로 생물들의 이기적인 행동은 유전자를 보존하고 전달하려는 목적만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돌보는 병원에서 전문치료사로 일하던 포시는 야생고릴라 연구를 한 미국인 동물
학자
살러박사의 책을 보고 감명을 받는다. 1963년 그녀는 아프리카로 고릴라를 만나기 위해 여행을 떠났다. 마침 고릴라 연구의 적임자를 찾고 있던 리키박사에게 다이안 포시가 찾아간 것이다.1966년 고릴라를 찾아 ... ...
생리·의학상/도어티, 친커나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바이러스 항원이 결합해 모양이 바뀐 덩어리를 수용체가 인식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면역
학자
들은 두번째 모델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었다. 자신을 공격하지 않는다도어티와 친커나겔의 발견은 1974년 '네이처'에 게재됐다. 몸의 면역체계는 외부 침입자와 함께 '주조직적합항원'이라는 자신의 단백질 ... ...
멸종위기 동물 1위는 조류 아닌 포유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한 수로 착각해 조류를 1순위로 인식하기 쉽다. 더욱이 많은 환경보호론자들이 조류
학자
인 만큼 아무래도 포유류보다 조류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통계에 따르면 포유류 중 가장 위험한 종류는 원숭이나 고릴라 같은 영장류(46%)였으며, 조류에서는 두루미류(25%)였다. 이외에도 통계에는 파충류,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