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과율을 조롱하는 영화적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형태로 변화시켰다. 여기에다 과학계에서도 ‘과학적 상상력’ 을 통해 몇몇 물리
학자
들은 ‘웜 홀’(Worm hole)이나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등을 통해 타키온의 존재를 조심스럽게 예견하고 있다.이렇듯 시간여행에 대한 인간의 풍부한 상상력은 일상의 시간에 찌들고 삶에 지친 우리들에게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다라니경’이 우리의 것이라는 근거를 좀더 명확히 밝혀야 하겠지만 중국
학자
들이 일방적으로 단정짓는 것은 큰 문제다.선조들이 이룩한 과학기술의 업적을 잘 보존하고 응용하기 위해 무엇보다 모든 전통과학기술을 ‘문화재’로 인식하고 연구하는 일이 절실하다 ... ...
2. 과학탐구토론대회 새로운 공룡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토의도 부족했다. 서로 얘기는 많이 했지만 독창적인 생각들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그저
학자
들의 학설에만 의존해 발표했던 점이 참여자에게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주제가 비슷한 팀들이 많아 흥미를 가지고 주의깊게 듣기에는 지루한 면이 있었다. 끝으로 이런 대회가 전국단위의 대규모 토론 ... ...
손쉬운 개미 관찰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개미는 전 세계에 무려 9천5백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한 과(Family Formicidae, 개미과)에 속한다. 원광대학교 김병진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 ... 여왕개미를 잡는 일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이 글을 읽는 독자 여러분 중에도 아마추어 개미
학자
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한다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들면 산소의 원자량은 16이므로 산소 1그램 원자량은 16g이다 1822~1884 오스트리아의 생물
학자
, 근대 유전학의 창시자 모라비아 지방의 한촌 하이첸도르프에서 작은 과수원을 가진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가정교사를 하면서 올뮈츠의 단기대학을 졸업하고 브륀(현재 체코슬로바키아의 브르노 ... ...
사람의 발정기가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어느 이론이 정확한 것일까.배란 은폐와 짝짓기그 해답을 찾기 위해 스웨덴의 생물
학자
버지타 실렌-툴버그는 영장류를 대상으로 배란의 은폐 여부가 짝짓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이를 토대로 해서 실렌-툴버그는 우리의 조상이 난교(亂交)를 하거나 일부다처의 하렘(harem)에서 살 때 ... ...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우주기원설의 두 번째 형태는 미생물이 지구에 도착했다는 설이다. 20세기 초 스웨덴 화
학자
아레니우스는 생명 현상이 지구에서 성공적으로 출발된 것이 아니라 우주로부터 표류해 온 미생물에 의해 이식됐다고 주장했다. 빛의 압력이 미생물을 한 계로부터 다른 계로 옮긴다는 설명이었다. 이 ... ...
인기학과에 연연하지 말기를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전공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는 것은 참으로 보람된 일이다.주변에서 세계적인
학자
가 된 사람들을 보면 일류대를 나온 사람들만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평생의 노력을 100이 라고 한다면 우리나라에서는 고교 60, 대학 20, 대학 후 20 정도로 고교 시절의 노력을 크게 생각하는 듯하다. 그러나 ... ...
X파일과 인디펜던스 데이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흥미롭다. 그러나 아직 과학으로 입증할 수 없는 현상에도 확실한 증거가 필요하다.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의 말처럼 상식을 벗어난 주장에는 상식을 벗어난 증거가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것을 다 믿기엔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 과학이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한 것이 못된다고 하더라도, ... ...
시대를 풍미한 만병통치약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만병통치약이란 것이 가능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따라서 양식있는 의사나 의
학자
라면 아무도 그런 것을 만들려는 헛된 노력을 하지 않는다. 간혹 정통 의·약학적 연구에 의해 만들어진 약이 만병통치약 비슷하게 쓰이는 경우가 있지만 이런 ‘남용’은 사실 의학계와는 전혀 무관하다. ‘특정한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