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1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풍 끝, 찜통더위-열대야 시작
동아일보
l
2015.07.27
밀려나고 있다”며 “태풍이 지나는 곳의 해수면 온도도 24∼25도로 낮아 강도와
크기
도 예상보다 약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태풍이 북상하면서 계속 발달하려면 해수면 온도가 26도 이상은 돼야 한다. 경로가 바뀌면서 제주도와 부산, 경남 등에 내려졌던 태풍 예비특보는 26일 오후 4시를 기해 모두 ... ...
이번엔 진짜! 지구와 가장 닮은 ‘제2의 지구’ 발견
2015.07.25
지구(왼쪽)와 케플러-452b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 NASA가 23일 발견했다고 밝힌 행성 케플러-452b는 지름이 지구의 1.6배 공전주기는 385일로 그 특징과 환경이 ... 그 앞을 지나가는 행성 때문에 생기는 밝기의 차이를 관찰해 간접적으로 행성의
크기
와 질량 등 행성의 존재를 유추하고 있다. ... ...
폐로 전이되는 유방암, 왜 생기나
2015.07.22
22일자에 실렸다. 보통 쥐에 비해 DOT1L 유전자 발현이 많은 쥐는 종양의
크기
가 커졌다(왼쪽). DOT1L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 쥐는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전이 빈도가 1/4로 나타났다. - 한양대 의과대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손상된 인체 조직을 재생하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졌지만 재생시킬 수 있는 조직의
크기
가 매우 작다는 한계가 있었다. 심장이나 간처럼 큰 조직은 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장기 내부 깊숙한 곳까지 골고루 분포해야 하는데 이렇게 만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출력하려는 ... ...
‘꿈의 전자파’ 안전하게 사용하는 기준 밝혔다
2015.07.21
여전히 안전하다”면서 “테라헤르츠파의 세기를 극대화하는 기술을 이용하면 원자
크기
의 미세 가공, 분자 물질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초고감도 센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5월 2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
2015.07.21
생존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다. 연구팀은 인공세포막에 있는 10억 분의 1m
크기
의 아주 작은 구멍인 ‘이온통로’에 흐르는 전류를 포착해 물질이 세포막을 교란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했다. 이온통로로 흐르는 1pA(피코암페어·1pA는 1조 분의 1A) 수준의 미세한 전류를 측정한 것이다. ... ...
뜨거워진 스마트폰, 어떻게 식히나
2015.07.20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전압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반도체의
크기
와 상관 없이 적용 가능한 기술로 대량 생산 문제를 해결하면 2~3년 안에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과학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6월 23일자 ... ...
손목시계만 차면 길 잃은 치매 환자 찾을 수 있다
2015.07.20
밝혔다. WT200은 조류독감 등을 예방하기 위해 철새에게 부착한 뒤 추적하는 장치로
크기
는 가로세로 3.2㎝에 무게는 22g이다. 오차 범위는 10m 이내로 정확한 편이다. 이 장비는 SK텔레콤의 상용 이동통신망과 국제 데이터로밍시스템을 이용해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 ...
인공피부용 재료, 레이저로 간단히 제작
2015.07.19
저절로 합성되는 신공정을 개발했다. 레이저를 세밀하게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
의 나노와이어를 자라게 할 수 있고, 원료 물질을 바꿔주면 각각 다른 종류의 나노와이어를 만드는 일도 가능하다. 레이저를 이용해 만든 나노와이어. - 서울대 제공 고 교수는 “여러 종류의 나노와이어를 하나의 ... ...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0.5mm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5.07.15
이번 연구로 심장이 새롭게 추가됐다. 유승권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아무리
크기
가 작아도 심장세포가 모여 만들어진 심장인 만큼 박동할 수 있다”며 “1㎜도 되지 않는 췌장(β세포) 오가노이드가 인슐린을 분비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이 이런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