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12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첫 탐사] 인류, 9년 6개월 만에 드디어 명왕성과 만났다
2015.07.15
명왕성 관측을 실시했다.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뉴호라이즌은 축구장 절반
크기
인 지름 60m 물체까지 분간되는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할 계획이다. 대기 성분을 관측하는 한편 명왕성 전체 지도도 작성한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4일이 지나면 뉴호라이즌은 명왕성에서 ... ...
청력장애, 유전자 치료로 고친다
2015.07.12
놀라서 껑충 뛰어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약물 치료를 받은 쥐가 반응을 보인 최소 소리의
크기
는 80dB(데시벨)로 지하철 소음 정도에 해당한다. 홀드 교수는 “현재 심각한 난청 치료를 위해서는 달팽이관 성형 등의 방법을 도입하고 있지만 유전자 치료는 환자 고유의 청력을 개선하는 장점이 ... ...
5세대 통신기술에 필요하다는 ‘밀리미터파’의 모든 것
2015.07.12
메가헤르츠의 1000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말한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파장
크기
가 대략 1~10mm(밀리미터) 정도여서 흔히 밀리미터파라고 부르는 것이다. ‘밀리파’ 또는 ‘EHF’라는 영문 약자로 부르기도 한다. 3G나 4G 이동통신이 대략 1~2GHZ 정도를 사용하는 것과 비하면 수 십~수백 배 가량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에너지 소비를 줄였다는 것이다. 신체 활동을 거의 하지 않으면서 주요 장기의
크기
도 줄인 것이다. 연구팀은 갑상선호르몬에도 초점을 맞춰 판다의 낮은 에너지 대사 원인을 설명했다. 갑상선호르몬은 대사를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인데, 판다는 이 호르몬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인 ‘DUOX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정도로 거의 완치된 상태다. 파란고리문어. -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탁구공
크기
‘파란고리문어’ 독 1mg이 치사량 몸에 독을 지닌 맹독성 해양 생물이 한국 해수욕장 피서객을 위협하고 있다. 한반도 주변의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잦아진 사례다. 파란고리문어는 원래 호주와 미국 ... ...
스타트업 기업 위한 ‘황금의 손’ 과학기술인 멘토들의 활약
2015.07.10
방식을 추천했다. 그 덕분에 닷의 스마트 손목시계는 일반 손목시계보다 얇고
크기
도 작지만 언제 어디서나 정보기술(IT) 기기와의 연결이 가능하다. 닷은 현재 유니세프 적정기술 공모전에 참가하는 등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도 노리고 있다. IT 전문가인 송용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값싸고 성능 좋은 ‘꿈의 촉매’ 개발
2015.07.08
유성종 선임연구원과 류재윤 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한 돌파구를 마련했다.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나노입자 형태인 만큼 반응면적이 넓어서 수조
크기
를 건물
크기
에서 컴퓨터 정도
크기
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메르스 확산 막는 ‘공기정화 필터’ 나왔다
2015.07.06
효율을 높였다. 연구팀이 이 필터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와 동일한
크기
인 0.12마이크로미터(㎛) 입자를 93.5% 이상 걸러내는 것을 확인했다. 이 필터를 병원에 설치할 경우 공기 순환 능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메르스 등 각종 전염병 바이러스를 포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9a를 과도하게 발현시킨 경우는 개체와 날개
크기
가 작아지고 억제한 경우 개체와 날개
크기
가 모두 커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는 인슐린 분비량이 조절되어 나타난 결과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눈으로도 생생히 확인하는 시대다. 세균은 물론이고 에볼라나 메르스 바이러스처럼
크기
가 극히 작은 대상도 전자현미경으로 또렷이 포착한다. 하지만 불과 200년 전만 해도 불가능했던 일이다. 보기는커녕 존재도 몰랐다. 1840년대에 영국의 역학자 윌리엄 파는 콜레라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런던의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