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세신에 대해서는 아직 규제가 없는 것 같다. 최근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발표
한 논문에서 저자들은 대만에서 2003년 쥐방울덩굴속 약초의 유통이 금지된 뒤에도 AA관련 간암이 만연한 주된 이유가 역시 AA를 함유한 쥐방울덩굴과 족도리속 약초가 제한 없이 널리 쓰였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5
X염색체가 불활성화 되는 과정에 대한 논문이
발표
됐습니다. GTEx 컨소시엄의 이름으로
발표
된 논문1)은 빅데이터를 이용해 유전자의 발현이 유전적 변이에 영향을 받는 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알렉시스 배틀 미국 존홉킨스대 교수와 스테판 몽고메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
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드레버가 중증의 치매로 투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드레버가 지난해 중력파 검출
발표
장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못한 이유다. 창립 멤버 세 사람을 선정하는 게 모양새는 가장 좋지만 어차피 드레버는 시상식에 오지 못 할 것이고 어쩌면 자신의 수상 사실도 인식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실제 ... ...
세포의 운명 결정짓는 ‘지문’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0.09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사이언스] 범죄자를 검거하기 위한 기본 수사 중 하나는 현장에 남은 지문을 찾는 것이다. 질병, 면역 등 생명활동의 다양한 결과도 ‘지문을 찾는 수사 ... 기술을 통해 후성유전학적으로 달라지는 세포의 운명을 알아낼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
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일본산 굴이 하와이에서 발견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280종의 해양 생물이 태평양을 건너 이동해 왔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29일자에
발표
했다. 2011년 3월 11일. 높이 38m가 넘는 거대 쓰나미가 일본 앞바다를 강타했다. 어선의 파편, 대형 부두에 이르는 수백 만 개의 바다쓰레기가 생겨났다. 그리고 이 바다쓰레기들은 긴 시간에 걸쳐 태평양을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맨틀이 상승해 백두산이 생성됐다는 BMW 모델을 학술지 ‘지구와 행성 물리학’에
발표
한 바 있다. 연구팀은 물렁물렁한 맨틀에서 지진파가 느려지는 성질을 이용한 지진파토모그래피로 지구 내부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상부맨틀 중 연약권 맨틀이 위치한 깊이 500~600㎞까지 태평양판이 ...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PERV·Porcine Endogenous RetroViruses)’를 없앤 돼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발표
했다. 장기의 기능이나 크기가 사람과 비슷한 돼지는 이종 장기 이식에 가장 적합한 종으로 꼽힌다. 문제는 돼지가 가진 질병 바이러스였다. 아주 오래 전 돼지를 감염시켰던 PERV 잔해가 돼지 유전체 전역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적합한, 즉 SFTS바이러스를 대표하는 균주를 제안한 중국 연구자들의 논문이 한 학술지에
발표
되기는 했다. 한중일 세 나라의 보건 담당자들이 SFTS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지 않을까. 한편 SFTS가 진드기 매개 질병의 전부가 아니다. 진드기 유충에 물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천문학자 대니얼 카센은 지난 2010년 학술지 ‘천체물리저널’에
발표
한 논문에서 이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즉 동반성에서 물질 유입을 받은 백색왜성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경우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폭발의 잔해가 동반성(적색거성)에 부딪치며 짧은 파장의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분석, 잎의 모양을 결정하는 새로운 분류법을 고안해 ‘사이언스’ 8월 31일자에
발표
했다. 사시사철 푸른 한국의 대표 상록수 소나무는 바늘과 같은 뾰족한 이파리를 자랑한다. 이런 ‘침엽수’는 널찍한 잎을 가진 ‘활엽수’보다 겨울을 나는데 유리하다. 표면적이 작아 수분을 적게 소모하고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