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아밀로이드가 덩어리를 형성하기 이전부터 신경세포에 손상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하기도 했지요. Q. 맞는 것 같은데… 이제 와서 그게 틀렸단 건가요? 아직 확언할 순 없다는 겁니다. 베타-아밀로이드가 알츠하이머를 일으킨다는 것도 여러 가설 중 하나일 뿐이니까요. 게다가 최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개수가 적은 합성생물체 ‘JCVI-syn3.0’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
해 화제가 됐다. 53만 여 염기로 이뤄진 게놈에 유전자 473개로 이뤄진 이 합성생물체는 비록 게놈은 화학적으로 합성했지만 어디까지나 진짜 생명체다. 즉 스스로 유전자를 발현하고 대사하고 복제로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많은 생물체들의 ‘가장 오래된 조상’일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이 화석은 캄브리아기 바다 속 진흙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가 1㎜로 육안으로 보면 검은 색 작은 알갱이처럼 보이지만,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하면 생명의 역사에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말 처음으로 왓슨을 진료에 도입했으며, 부산대 병원에서도 뒤를 이어 도입한다고
발표
했다. 이미 상용화까지 이루어진 의료 인공지능이 네이처쯤 되는 학술지의 표지 논문을 장식했다는데 조금 의아한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자세한 내용을 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닥터 왓슨을 만나기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이동시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원자선을 발견해 2015년 10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연구진은 영하 150℃ 이하의 저온에서 부도체인 인듐 원자선이 전자를 하나씩 옮기는 '카이럴 솔리톤(chiral soliton)'이라는 새로운 전하수송체를 가지는 것을 발견했다. 전자 하나의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2
노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아이들이 교실에서 구토를 하면 빠르게 퍼집니다. 2003년 9월에
발표
된 한 연구에 따르면 반에서 구토한 어린이가 없는 경우 전염률이 15.6%지만 구토 횟수가 2번일 땐 35.4%, 3번일 땐 65.9%로 늘어났습니다. 연구팀은 노로 바이러스가 공기 속에서 에어로졸 형태로도 전염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연관성 연구를 이끌어온 칼데론-가르시두에뇰라 교수는 ‘란셋’ 1월 4일자(온라인)에
발표
한 해설 말미에서 “수십 년이 지나고 발생할 사태에 대응하는 것보다 지금 예방적인 대응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맞는 말이지만 현실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지난 수년의 추세를 되돌아볼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수학자 클로드 섀넌은 32세 때인 1948년 ‘통신의 수학적 이론’이라는 기념비적인 논문을
발표
했다. 섀넌은 논문에서 정보가 불확실성의 척도라고 주장했다. 즉 불확실성이 클수록, 즉 예측 가능성이 낮을수록 더 많은 정보를 뜻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섀넌은 정보의 질과 관련해 ‘잉여성’이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아빠 얼굴도 모른다는 말이다. 캔트와 존스톤은 2010년 학술지 ‘영국왕립학회회보B’에
발표
한 논문에서 이런 무리의 구조에서도 번식투쟁이 적용된다는 사실을 수학모형을 세워 입증했다. 즉 암컷이 나이가 들수록 무리 내 수컷들과의 평균 혈연도가 올라가므로 젊은 암컷은 자기 새끼만 챙긴다는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수소의 위치가 정확하게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팔라티누스 연구팀이 사이언스에
발표
한 논문은 수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새로운 수학적인 방법이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PEDT(세차 전자회절 단층 결정 구조 분석법, Precession Electron Diffraction Tomograpy)라고 불렀다. (그 과정은 연구팀이 개발한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