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함께 밀도함수이론으로 응집물질의 특성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콘-샴 정리’를
발표
했다. 콘의 박사과정학생인 필립 통은 밀도함수이론을 써서 나트륨 격자 안에 있는 전자의 에너지를 계산하는데 성공했고 그 뒤 화학자들이 이론연구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컴퓨터의 성능이 급격히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결정할 때 위원회는 게임이론 연구자 가운데(노이만과 모르겐슈테른의 위대한 논문
발표
50주년을 맞아 이 분야로 정한 상태였다) 고민을 하다 섀플리를 떨어뜨리고 내쉬를 선택했다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분자화석으로 지구 역사를 재구성한 화학자, 지오프리 에글린턴
2016.12.12
특히 잎의 표면을 덮고 있는 왁스를 집중적으로 연구했고 196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
한 14쪽에 이르는 논문으로 정점을 찍었다. 에글린턴은 잎의 왁스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분자화석(molecular fossil)’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즉 잎의 왁스를 이루는 성분처럼 안정한 분자는 오랜 세월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생체리듬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8
연구원팀도 최근 10년 동안
발표
된 면역 관련 생체리듬 연구를 모아 리뷰 논문으로
발표
했다. 정상적인 생체리듬이 과도한 면역 반응을 막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감염이나 면역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밖에 에릭 S. 뮤지에크 ... ...
美서 합법인 대마초, 뇌 보상시스템 망가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20
작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담배의 유전자를 조작해 광합성 효율을 높인 새로운 식물을
발표
했다.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는 2050년까지 현재보다 70% 이상 더 많은 식량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식물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교배를 통한 개량을 연구 중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생산량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그 결과, 심장관계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25% 낮아지고 이로 인한 사망률도 20% 감소했다고
발표
했다. 소금 섭취량과 고혈압, 뇌졸중 발생 빈도를 조사한 다른 연구(Kawano 2012; Ueshima 등 2008)에서도 소금 섭취량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중국 북부의 텐진과 한국, 일본 북부의 토야마가 꼽혔는데 이 지역에서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있는 경우가 많다. 유명한 과학저널에 실리는 과학논문들도 문학적인 에세이 형식으로
발표
되는 경우가 많다. 구조주의 철학의 장을 연 책의 하나로 손꼽히는 레비스트로스의 <슬픈 열대>는 일종의 문화기술지 학술서인데도 한때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된 적이 있다. 학술적 표현방식에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때 뉴런이 제대로 자라 다른 뉴런과 연결되는 모습을 처음으로 관찰하고 논문으로
발표
했다. 다 자란 포유류의 뇌는 사고나 질병으로 손상됐을 때 극히 재생되기 어렵다. 과학자들은 분화능력이 있는 세포인 ‘배아줄기세포’를 뇌의 상처부위에 이식해서 뉴런을 다시 만들려고 여러 차례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시베리아호랑이) 게놈을 해독해 사자와 눈표범의 게놈과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
했을 때도 표범이 빠져 좀 섭섭했던 기억이 난다. (이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45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참조) 그런데 얼마 뒤 우연히 당시 연구를 이끈 울산과기대 박종화 교수와 통화를 ... ...
사이언스가 선정한 최고의 명약은 ‘신뢰받는 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손가락이 왜 현재와 같은 5개를 가진 형태로 진화하게 됐는지에 대해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연구진은 유전자 이상으로 5개의 손, 발가락을 가진 동물이 진화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대부분 동물이 5개의 손, 발가락을 갖게 됐다고 분석했다. 연구과정에서 크미타 교수팀이 ... ...
이전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