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사례
실례
지위
처지
기회
케이스
d라이브러리
"
경우
"(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습니다. 과학의 역사에서 모방을 통해 새로운 연구를 이끌어낸
경우
도 많습니다. 단, 연구활동에서 표절은 도둑질과 같다는 사실을 명심하세요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뭉쳐 구름을 만든다. 그런데 이 구름이 극지역의 오존을 파괴한다. 성층권에 황산을 뿌릴
경우
황산이 질산과 같은 작용을 해 오존층이 파괴될 수 있다.4 식물 효과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는 직접 들어오는 직달복사와 반사 또는 산란하는 산란복사가 있다. 이 중 성층권에 햇빛을 가리는 입자들을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공통적으로 감염시키는 인플루엔자는 종종 나타나지만 AI 바이러스가 사람을 감염시키는
경우
는 드물다.그런데 2003년 사람도 감염시키는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등장했다. 이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은 H5형으로 원래 사람은 감염시키지 못하는 구조다. 그런데 182번째와 192번째의 아미노산이 ... ...
‘베프’와 나는 유전자까지 닮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알아내는 단서인 ‘단일염기 다형성(SNP)’을 비교한 결과 친구사이에는 유전자가 비슷한
경우
가 많았으며, 유전자가 다를 때도 서로 상호보완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술을 좋아하는 유전자로 알려진 도파민 D2 수용체 ’DRD2’를 가진 사람은 친구도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뭔지 해석이 불가능하다.예비역 공군장교는 “드물게 미군 스텔스기가 한국 영공에 오는
경우
가 있는데, 이 때는 비행기가 내보내는 식별신호 이외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면서 “식별신호는 조종사가 마음대로 켜고 끌 수 있기 때문에 적기라고 생각하고 보면 정말 무섭다”고 설명했다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문에 성과를 빨리 내려고 실험 과정을 마음대로 생략하다 잘못된 결과를 내는
경우
가 많습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결국 프로테오믹스의 신뢰를 떨어뜨리게 되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실험의 표준을 정했습니다.”세계 프로테오믹스를 이끌고 있는 단체가 세계인간프로테옴기구(HUPO)다. 백융기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모든 정보가 중앙제어장치를 통하기 때문에 중앙제어장치가 공격받거나 고장 났을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위험에 빠질 우려가 있다.[네 가지 네트워크 구조‘토폴로지’ 컴퓨터공학자들이 구분한 네 가지 토폴로지. 각각 네트워크 구축 방법이나 장단점이 모두 다르다.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50여 일 동안 파죽지세로 퍼지면서 가축 220만여 마리가 살처분됐다(1월 20일 현재). 소의
경우
337만여 마리(지난해 12월 기준) 가운데 4%인 13만 6000여 마리가 매몰됐다. 돼지는 990만여 마리 가운데 21%인 206만여 마리가 매몰됐다. 다섯 마리 가운데 한 마리 꼴이다. 다행히 전남과 제주는 아직 구제역이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변형돼 감염력을 잃는다. 올 겨울은 유난히 추워 산성이나 염기성인 소독액이 얼어붙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제대로 죽이지 못하고 있다. [산성이나 염기성 액체인 소독약은 구제역바이러스를 쉽게 죽일 수 있다. 그러나 추위로 소독약이 얼면 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한다.]온도와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1초에 1000경(1019) 개의 전자중성미자가 나온다. 이중 검출기에 잡히는 수는 근거리의
경우
하루에 1000개, 원거리는 하루에 50개 정도에 불과하다. 원자로에서 나온 전자중성미자는 사방으로 퍼지기 때문에 검출기에 잡히는 수는 거리의 제곱에 비례해 줄어든다. 거리의 차이를 감안해 각 검출기에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