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암이 어떻게 연관돼 있는가 하는 것도 수리생물학에서 다루는 문제예요. 제가 요즘 미국의 버지니아공대 연구팀과 함께 연구하고 있는 주제이기도 해요. 생체시계가 고장 나면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거든요. 그런데 왜 그런지 밝혀지지 않아서 치료하기가 어려워요. 생체시계는 작동 ... ...
- [News & Issue]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구조 분석,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 표면 및 계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준공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이며, 1년간 시운전을 거쳐 2017년 초부터 정식으로 가동할 계획이다. 준공식은 2016년 4월에 열릴 예정이다 ... ...
- [News & Issue]다이아몬드 능가하는 신구조 탄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탄소가 탄생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팀은 비결정성 탄소를 가열했다가 급히 식히는 방법으로 다이아몬드보다 강하고 밝은 탄소 구조를 만들었다고 12월 1일자 ‘응용물리학저널’에 발표했다.상온에서 탄소는 벌집 모양의 2차원 구조인 그래핀이 층층이 쌓인 3차원 구조(흑연)를 ... ...
- [News & Issue]우주최강 생명체 ‘물곰’ DNA 갑론을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교수팀은 물곰의 생명력이 강한 이유가 외부로부터 도입한 우수한 유전자 때문이라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밝혔다. 연구팀은 물곰의 유전자 중 약 17%가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일반적인 동물의 외부 유전자 비율이 1%인 것에 비해 훨씬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그런데 12월 1일 그에 대한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없이 볼 수 있다.아냐, 문제는 햇빛이야!그런데 ‘비타민D’는 정확한 변수가 맞을까. 미국 신시네티 정신분석연구소의 폴 슈바르츠 박사는 2014년 발표한 논문에서 새로운 가설을 제시했다(10.1016/j.mehy.2014.10.014). 폴 박사는 그간 진행된 쥐 실험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조현병과 관계있는 변수는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길라잡이 역할도 합니다. 이름하여 ‘헨젤과 그레텔 전략’입니다. 지난해 9월 김민수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팀이 ‘사이언스’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헨젤과 그레텔이 빵가루를 흘려 지나온 길을 표시하듯, 저희도 침입자를 공격하러 출동하는 길에 ‘CXCL12’라는 화학물질로 흔적을 남깁니다. T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될 만한 목표를 떠올릴 때 동시에 이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함께 떠올리는 것이다. 미국 뉴욕대 심리학과 피터 골비처 교수는 참가자들에게 건강한 음식 먹기, 단어 외우기 등 목표를 주고 한 집단에는 그 목표를 달성하면 얼마나 기쁠지를 상상해보라고 지시했다(보통 조건). 다른 집단에는 똑같이 ... ...
- 숲도 관상을 본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운명이 궁금한 사람들은 점이나 관상을 봅니다. 그런데 숲에도 관상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나무기둥의 반지름만 알면 숲 전체가 얼마나 무 ... 나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환경이 다른 두 숲의 결과는 같았습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2월 8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스마트폰 앱을 만드는 데 쓸 도구는 ‘앱인벤터’입니다. 앱 인벤터는 구글이 개발하고 미국매사추세츠공대(MIT)가 운영하고 있는 인터랙티브 앱개발 도구입니다. 2009년 구글이 누구나 안드로이드앱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게시작이었습니다. 그 뒤 MIT가 이어 받아 모바일 ...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질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 걸 알 수 있어요. 함박눈의 결정핵은 상자 모양최근에는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생명공학과 연구팀이 결정핵에서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수학모형을 만들기도 했어요. 연구팀은 이 모형에서 구름 속의 온도와 습도, 기압은 같게 하고 얼음결정의 ... ...
이전5095105115125135145155165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