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면 부족하면 골다공증 생겨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이상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를 의학분야 전문 학술지 ‘실험생물학 및 의학’ 9월호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태어난 지 7개월 된 쥐 18마리를 이용했다. 사람에 대비하면 청소년 정도 되는 나이다. 한참 성장해야 할 시기에 10일은 잠을 재우지 않고 2일은 쉬게 하는 방법으로 72일을 지내게 해 만성적인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차지할 것인가. 싸움은 다시 시작이다.[올해 7월 미국 미시건대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
한 연구 결과. 아벨 222와 아벨 223 은하단을 연결하는 미지의 중력원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암흑물질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않는다. 지난해 자녀 차별에 대한 연구를 다룬 저서 ‘형제자매 효과(The Sibling Effect)’를
발표
한 저널리스트 제프리 클루거는 “자녀 차별의 영향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지만,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부모가 자녀를 차별한다는 사실을 절대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모두를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 유명한 고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 역시 ‘자연학’ 지에
발표
한 에세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한 적이 있지.”수의사는 그림 하나를 보여 줬다. 어떤 동물의 다리 뼈를 그린 그림이었다. 처음 봤을 때는 크게 의식하지 않았는데, 뭔가 예사롭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치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호모 속 턱뼈 화석 세 구를 연구해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8월 9일 ‘네이처’에
발표
했다.미브 리키 교수는 1972년 아프리카 케냐 북부 쿠비 포라 화석지에서 ‘KNM-ER 1470’이라고 이름 붙인 화석을 하나 발굴했다. 두뇌 크기가700cc 대로 당시 존재하던 다른 친척 인류에 비해 컸다. 비슷한 ... ...
뿔이 큰 수컷 장수풍뎅이가 더 매력적인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커다란 뿔이 장수풍뎅이 수컷에게는 필수다. 장수풍뎅이 암컷에게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커다란 뿔이 암컷에게 매력적인 까닭은 무엇일까.미국 몬타나 ... 가장 뿔이 큰 수컷을 고르는 암컷 장수풍뎅이의 눈은 정확했다.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8월 17일자에
발표
됐다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브레시아대 기계·산업공학과 크랭코보치 교수는 ‘유럽물리학저널’ 7월 19일자에
발표
한 논문에서 꼭 그렇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 비가 어떤 방향으로 어떤 속도로 내리는지와 이동하며 비를 맞는 사람 또는 물체의 모양이 어떻게 생겼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진다는 것. 심지어 무한히 얇은 ... ...
수학·과학 영재와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논술 고사를 봤는데 아쉬움이 많이 남는 시험이라면서 우울해 했다. 12월 초 수시 합격자
발표
. A학생은 연세대를 포함해 세 개 대학에 모두 합격했다. 내신성적도 그리 좋지 않았고, 수능 성적도 연세대나 고려대는 꿈도 못 꿀 점수였다. 그러나 당당하게 합격했다. 바로 수능 우선선발 때문이다. ... ...
다이아몬드 만큼 단단한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성질의 탄소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그 결과를 사이언스 8월 17일자에
발표
했다. 풀러렌이란 축구공과 모양이 똑같아 흔히 ‘탄소 축구공’이라 부르는 지름 1nm(나노미터)의 구형 탄소구조체다.연구팀이 발견한 새로운 구조체는 풀러렌을 고압으로 찌그러트린 형태다. 전체적으로 ... ...
[교과연계수업]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다. 이것을 ‘브래스의 역설’이라고 한다. 독일의 수학자 디트리히 브래스가 1968년
발표
한 ‘교통계획의 역설’이라는 논문에서 이 내용을 다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그렇다면 브래스의 역설대로 교통체증을 더 유발하는 불필요한 도로가 있을까?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미국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