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가 부리는 독심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사용자의 정신적 업무량을 측정하고 휴식이 필요한지를 알려주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발표
했다. 2010년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대 바미디스 교수팀은 뇌파 센서를 이마에 부착해 유쾌한 감정과 불쾌한 감정을 80% 이상의 정확도로 읽어내는데 성공했다. 뇌공학이 발전하면서 기계가 사람의 감정을 읽고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뛰어넘었다. 2차전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쌓고 있고 학부생이 SCI급 논문을
발표
하기도 했다. 이제는 세계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이공계 특성화대학으로서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국내가 좁다. 우리는 세계를 본다UNIST는 개교를 준비할 때부터 세계 수준의 대학에 눈높이를 맞추고자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날!브릿지학회에서 넷째 날은 가족의 날이다. 다른 날과는 달리 각각의 강의실에선 논문
발표
대신 수학 구조물이나 작품을 직접 만드는 워크숍이 진행되고, 복도 곳곳에는 수학 작품과 교구가 전시된다. 저녁에는 연극 공연과 마임 공연이 진행된다. 수학박물관 엿보기!학회 셋째 날 진행된 여행의 ... ...
태양은 가장 완벽한 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태양계에서 가장 둥근 천체가 무엇일까? 정답은 태양이다.미국과 브라질 공동연구팀은 최근 태양동역학관측위성의 태양내부구조자기영상장치로 태양을 관측한 결과 태양 ... 거치면서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이 연구는 지난 8월 16일 ‘사이언스 익스프레스’에
발표
됐다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그들의 생활모습 때문이다.마다가스카르에 사람이 처음 온 것은 불과 2000년 전. 올해
발표
된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 따르면 그들은 인도네시아에서 왔고, 당시 약 30명의 가임여성이 있었다고 한다. 마다가스카르 사람들은 쌀농사를 지으며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사용하는 배를 이용해 물고기를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에 대한 반발로 1967년 독일의 역사학자 아르노 페터스는 19세기 중반 제임스 골이
발표
했던 도법을 빌어 오늘날 골-페터스 도법이라고 불리는 방식을 만들었다. 골-페터스 지도는 각 나라의 실제 넓이를 반영했다. 페터스는 이 방법이 메르카토르 도법을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해 논란을 ... ...
미래 수명 예측하는 ‘생존곡선 수학모델’ 개발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다양한 동물들의 생존곡선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최근
발표
한 생존곡선 수학모델을 통해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수명은 계속 늘어나고 점차 고령화되고 있음을 입증했다.원병욱 교수는 “인구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생존곡선의 분석은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다. 이것을 ‘브래스의 역설’이라고 한다. 독일의 수학자 디트리히 브래스가 1968년
발표
한 ‘교통계획의 역설’이라는 논문에서 이 내용을 다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그렇다면 브래스의 역설대로 교통체증을 더 유발하는 불필요한 도로가 있을까?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미국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1893~1981)와 함께 일주일간 한 가지 실험을 했다. 실험장치도 의외로 간단해 그들의 논문이
발표
된 후 미국의 한 과학 잡지는 비전문가도 만들 수 있는 장치라고 했다. 전극이 연결된 유리 플라스크 속에 메탄, 암모니아, 수소가스의 혼합가스를 가득 채우고 수증기를 주입시킨 후 고압 전기 방전을 ... ...
소년, 위기에 처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연애 못지않게 만족스럽고 안정적이었습니다.2007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이
발표
한 논문은 심지어 장거리 연애가 근거리 연애보다 더 안정적이라는 결과를 담고 있기도 했습니다. 연구팀은 그 이유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상대나 둘 사이의 관계를 더욱 이상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