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9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프린터로 인공 지문 만들어 내 스마트폰 열어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2
하지만 몇주 동안 충분히 테스트하면 믿을만한 인공 지문을 만들 수 있으리라는게
연구진
의 예상입니다. 이 기술이 충분히 발전하고 보급되면 스마트폰에 대한 수색이 더 쉬워질 수도 있겠습니다. 비밀번호를 몰라도 지문을 채취해 스마트폰을 열어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전 국민의 지문 ... ...
애플보다 한수 위 ‘3D 터치’ 기술 국내서 개발
2016.07.22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 군데만 인식하는 애플 기술보다 한 단계 더 발전했다.
연구진
은 말랑하면서도 투명한 필름을 0.2mm 이하로 얇게 만들어 투명 전극판 2장 사이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센서를 만들었다. 전극판을 누르면 안에 들어있는 필름의 두께가 달라지면서 힘의 세기를 인식한다. ... ...
북한 핵무기 진짜일까 가짜일까… X선은 알고 있다
2016.07.22
이 파동은 전리층의 전자기 밀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인공위성으로 탐지할 수 있다.
연구진
은 이런 변화를 이용하면 핵실험 여부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을 수 있을 걸로 보고 있다. 실제로 박지혜 노팅엄대 연구원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원으로 있던 2011년 GPS를 이용해 북한의 2009년 2차 ... ...
유럽보다 미국 갈 때 시차적응이 힘들었던 이유
2016.07.22
패턴이 급격히 바뀌면 스스로 태양빛과 온도 등을 인지해 생체시계를 맞춰 나간다.
연구진
은 시교차상핵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반복했다. 그 결과 생체시계가 ‘앞으로 당겨지는 방식’이 아닌 ‘뒤로 늦어지는 방식’으로 시차를 극복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모 아니면 도! 사랑앵무는 딱 두 가지 속도로만 난다!
2016.07.21
거리를 계산하는데 있어 속도의 영향을 덜 받게 되는 것입니다. Jim Bendon(W) 제공 한편,
연구진
은 다른 모든 종의 새가 이렇듯 단 두 가지의 비행 속도만 가지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장거리 이동 시 일정 구간에서 속도를 점차적으로 가속하는 일부 예외의 ... ...
항암치료에 쓸 ‘백신 배달부’ 개발됐다
2016.07.20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실험결과 인체내부 조건은 물론 고온에서도 매우 안정적이었다.
연구진
은 생쥐실험 결과 인캡슐린이 흑색종양 암세포 조각(항원)을 면역세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항원을 전달 받은 면역세포는 흑색종양을 공격하는 맞춤형 T세포를 부작용 없이 ... ...
살 쭉~ 빠지는 설탕 대체제 나온다
2016.07.20
사료를 섭취한 쥐는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체중은 약 25%, 전체 지방량은 62% 감소했다.
연구진
은 이 이유를 알룰로스가 소장에서 지질을 흡수하는 유전자 ‘PRARα’의 발현을 감소시켜 지질이 체내로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고, 또 분변으로 지질 배출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 ...
균과 공생해 뿌리 성장 조절… 나무도 영양분 스스로 찾는다
2016.07.19
나무는 뿌리에 사는 균에 따라 뿌리 굵기가 달라진다 - 위키미디어 제공 나무 뿌리가 땅속 세균과 공생관계를 통해 영양분을 확보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펜실베니아대 로저 코이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나무뿌리에 사는 균류에 따라 뿌리 두께가 달라져 영양분을 확보하는 과정이 달라 ... ...
수명 4배 길어진 유연 태양전지 개발
2016.07.19
의미다.
연구진
이 개발한 유연 태양전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연구진
이 개발한 물질은 중성이어서 기존 대비 3~4배 더 길게 안정성을 유지했다. 300시간 후에도 초기 효율 대비 66%를 유지할 정도로 안정성이 높았다. 손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된 신규 소재는 태양전지 성능 향상에 ... ...
닭 대가리보다는 오리 대가리?!
2016.07.19
사각형 모양의 물체 두 개로 구성된 한 쌍을 새끼오리에게 각인시켰습니다. 그 후
연구진
은 흰색의 원 모양 한 쌍과 빨간색의 삼각형 모양과 초록색의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된 한 쌍을 새끼오리에게 동시에 노출시켰습니다. 그 결과, 새끼오리는 흰색의 원 모양 한 쌍을 따라갔는데요. 바로 색과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