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으로 스마트폰 충전?
2016.07.10
서로 맞물려 도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만들 수 있어 향후 꾸준히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연구진
은 초소형 엔진으로 이 세균들의 미세한 움직임을 전기로 바꿔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기기를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쉔드럭 교수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 기가와트(GW)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있도록 만들었다. 두 빛의 주파수를 다르게 하면 가오리는 한쪽으로 방향을 틀게 된다.
연구진
은 이런 방식으로 가오리 로봇이 장애물을 피해 헤엄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가오리 로봇의 수영 실력은 실제 가오리의 63% 수준으로, 지금까지 개발된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중에서는 성능이 가장 ... ...
플라스틱 원료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
2016.07.10
필요 없을 뿐더러 타 공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
은 태양광에너지로 포름산 1t을 만들 때마다 이산화탄소가 0.96t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백 연구팀은 2009년부터 이산화탄소를 포름산으로 바꾸는 광촉매를 개발하기 시작해 2012년 분말 형태의 촉매를 ... ...
장마철에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나온다
2016.07.10
지나면 태양전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진
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표면에 기존 첨가제 대신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소수성 물질을 발랐다. 그 결과 습도가 75%가 넘는 환경에서도 두 달 이상 초기 효율의 90% 이상을 ... ...
두 달동안 한 번도 땅을 밟지 않고 쉬지 않고 나는 새가 있다?
2016.07.09
빼앗기도 합니다. 그래서 ‘해적새’라는 불명예를 얻게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편
연구진
은 큰군함조가 이렇게 오랜 시간 하늘에 떠 있으면 도대체 잠은 언제 자는지 궁금했는데요. 이번 연구의 결과, 큰군함조는 구름을 뚫고 날아가는 단 몇 분간, 그들 뇌의 절반만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 ...
앗! 이 행성에선 태양이 3개 뜨고 지네
2016.07.08
새로 발견된 행성에서(맨 앞)에서 볼 수 있는 하늘의 모습. - 유럽남방천문대(ESO) 제공 태양 2개가 나란히 지는 일몰을 구경할 수 있는 행성. 영화 ‘스타워즈’의 주인공 루크 스카이워커는 2개의 태양(항성)을 가진 행성 ‘타투인’에서 태어났다. 최근 영화 속 상상에서보다 태양이 하나 더 많은, ... ...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
2016.07.08
이루는 쥐의 심장근육세포다. 가오리 로봇 한 마리에 심장근육세포 20만 개가 들어갔다.
연구진
은 머리 부분에 위치한 심장근육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해 광(光) 활성을 띠도록 만들었다. 청색광을 쪼이면 전기신호가 생기면서 근육이 수축한다. 별도의 동력원 없이 근육만 이용해 움직이는 원리다. ... ...
미래형 자동차 연료 효율 30배 높이는 기술 개발
2016.07.07
스트론튬이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면서 점점 전기 흐름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연료전지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금속인 하프늄을 첨가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실험 결과 산소교환반응 속도가 30배 증가했고, 수명은 2~3배 늘었다. 이번 연구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
“연골, 한번 닳아 없어지면 재생 어려워”
2016.07.07
모두의 무릎관절에서 연골의 주요 성분인 콜라겐이 생성된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연구진
은 사고나 노화, 관리부주의 등으로 연골이 한번 손상되면 다시 회복되기 힘들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결과가 의료계의 새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재어 교수는 “이번 ... ...
물리학 이해하는 영특한 고양이
2016.07.07
고양이의 이러한 능력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위키미디어 커몬스 제공
연구진
은 고양이가 소리를 기반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물체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실험은 30마리의 애완용 고양이로 그들 앞에 네 종류의 상자를 두고 진행했는데요. 이 상자들을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