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0건 검색되었습니다.
혈흔 사진만 찍으면, 사망시각 10분 만에 확인
2016.06.24
결과 돼지의 스트론튬 동위원소 비가 제주도 지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
은 뺑소니 추적을 위해 각 차량의 유리 성분 데이터도 구축했다. 차량 유리의 납 동위원소와 희토류 동위원소 비가 제조사마다 다르다는 점을 이용했다. 현재 사고 현장에서 발견된 유리 조각을 분석하면 차량 ... ...
심장을 감싸는 그물망이 심부전증 치료
2016.06.23
심장이 수축하고, 유연한 재질로 인해 이완 시엔 부드럽게 늘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진
은 심근경색에 걸리게 한 생쥐에 소프트 심장 자극기를 적용해 실험한 결과, 개발된 자극기가 심장의 수축을 도와 심실 벽의 부하를 덜어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심장 자극기의 재질이 심장조직과 유사해 ... ...
지방 낮춘 초콜릿 제조비법: 그저 전기 자극만 주면 끝!
2016.06.23
더 쉽게 흐를 수 있도록 서로 엉겨 붙으며 뭉쳐진다는 것입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연구진
중 한 사람인 롱지아 타오 교수는 “이 방법을 사용해서 약 10%까지 지방의 비율을 낮출 수 있었다”고 밝혔는데요. 이 이론에 따르면, 최대 그 두 배까지 지방 성분의 감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
암유발 단백질 분해하는 신개념 대장암 치료제 개발
2016.06.22
목록을 검색해 베타카테닌과 라스 단백질을 동시에 분해하는 화합물을 찾아냈다.
연구진
은 쥐에게 대장암 세포를 이식한 뒤 이 화합물을 주사했더니 암 세포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최 교수는 “신호전달계를 제어하는 방식의 새로운 항암제 개발 전략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며 ... ...
공부와 운동, 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은?
2016.06.22
해마 영역이 다른 그룹의 참가자들보다 더 정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연구진
은 “이 연구결과를 통해 적절한 타이밍에 운동을 하는 것이 장기 기억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교육 및 임상실험 설정과 관련한 운동의 잠재적인 가능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 ...
“러시아에서 산불 나면 韓 초미세먼지 농도 높아져”
2016.06.21
잘 걸러지지 않아 뇌와 심장, 폐 등 주요 장기에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연구진
은 2014년 7월 러시아 시베리아 산림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한 후 대전 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51~100㎍/m³)’ 수준이 된 것을 발견했다. 위성 관측 영상을 분석한 결과, 당시 시베리아 산불지역 동쪽으로 ... ...
20초 만에 스마트폰 완충하는 기술 개발
2016.06.21
강정구 교수(왼쪽)와 김용훈 교수. - KAIST EEWS 대학원 제공 20초면 스마트폰을 초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개발됐다. KAIST EEWS대학원 강정구 김용훈 교수팀은 빠른 속도로 충방전이 가능하면서도 1만 차례 이상 작동해도 용량 손실이 없는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 ... ...
연필에 돌돌 말릴 정도로 얇은 태양전지 보셨나요
2016.06.21
만들지만
연구진
은 얇은 기판 위에 회로를 직접 그려내는 기법을 활용했다. 먼저
연구진
은 실리콘과 비슷한 반도체 재료인 갈륨 비화물을 이용해 전지를 제작했다. 여기에 사진 인화에 사용되는 감광제를 이용해 기판 위에 회로를 부착했다. 감광제는 아세톤으로 녹여내면 간단히 사라지고 기판 ... ...
“암흑물질 탐색 중심에 있는 韓과 경쟁 대신 협력하겠다”
2016.06.20
“본격적인 실험은 8월 말부터 5년 간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CAPP-CERN 공동
연구진
의 액시온 검출 실험은 CAPP에서 자체 진행하는 액시온 검출 실험과 별도로 진행된다. 그는 “액시온 검출에 두 연구단의 기술과 인적 자원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낸다면 액시온 검출은 시간문제일 것”이라고 ... ...
바닷물에서 리튬 금속 이온만 쏙 빼내
2016.06.20
나타났다. 이를 활용해 리튬, 나트륨 등의 양이온을 잇달아 추출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
은 농도차에 따라 흘러가는 액체 환경에 전기장을 충분히 가하면 농도차에 따른 흐름을 극복할 수 있다는 새로운 물리 현상을 증명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육상 자원이 고갈되는 상황에서 ... ...
이전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다음
공지사항